(사진)국회의원 한병도 정부가'AI 기반 행정혁신'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를 구현할 지방자치단체의 전문 인력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243개 지자체 전산직 공무원 4,549명 중 데이터직류는 19명(0.4%), AI 업무 담당자는 349명(7.6%)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서울·부산·인천 등 주요 대도시에는 데이터직 공무원이 단 한 명도 없어 인력 편차 문제가 두드러진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행정안전위원회)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광역단체 중 데이터직 공무원이 있는 지역은 광주(4명) 뿐이며, 기초단체에서는 광주·충남·강원·전남에서만 총 15명이 근무 중이다.
반면, 서울·부산·대구·인천 등 4개 광역시는 물론 대부분의 기초지자체에서도 데이터직 인력이 전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AI 관련 업무는 기존 전산직 공무원들이 정보시스템 관리와 병행하며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업무 과부하와 전문성 부족, 윤리·보안 관리 미흡 등이 문제로 지적되며, 2025년 'AI 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데이터직류는 2020년 신설되어 2023년부터 채용이 시작됐으나, 5년간 확충 실적이 미미하다. 데이터직이 빅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반면, 전산직은 인프라 전반을 관리하는 범용적 역할이라 지자체가 후자를 선호하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한병도 의원은 "AI 행정은 전문 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기존 전산직에 AI 업무를 떠넘기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데이터·AI 직무체계 개편 로드맵 수립과 광역 단위 공동정원제 도입"을 촉구하며, 체계적인 인력 양성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이번 사태는 정부의 디지털 행정 구호가 현장 인프라와 괴리된 현실을 보여주며, 법 시행을 목전에 둔 지자체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