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장에서 대통령실 김현지 제1부속실장을 둘러싼 휴대전화 교체 의혹이 도마에 오르며 여야 간 격렬한 공방이 이어졌다. (사진=MBC뉴스영상캡쳐 2025. 10. 20. )
국정감사장에서 대통령실 김현지 제1부속실장을 둘러싼 휴대전화 교체 의혹이 도마에 오르며 여야 간 격렬한 공방이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20일, 김현지 실장이 지난 13일 오전 10시 36분경 아이폰 14에서 아이폰 17으로 기기를 바꾼 뒤 불과 9분 만에 다시 아이폰 14로 되돌린 통신기록이 확인됐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해당 자료는 KT가 국회에 제출한 내역으로 알려졌다.
여당은 이 교체 시점이 이재명 대통령 관련 사법 리스크가 불거진 주요 시기와 겹친다며 “의도적인 증거인멸 시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약정 만료에 따른 단순 기기 변경일 뿐이며, 통신사 권유에 따른 정상 절차”라고 반박했다. 또 김 실장의 국감 출석 요구에 대해서는 “대통령실 소속 참모는 국정감사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도 김현지 실장이 언급됐다. 야당은 “2016년 성남시 백현동 사업 관련 자료를 김현지 실장이 관여했다”고 주장했고, 여당은 “도정과 무관한 정치공세”라며 맞섰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기기 교체 문제를 넘어 대통령실 참모진의 행적 관리와 권력기관 투명성 문제로 번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청와대 참모가 국감의 사각지대에 있는 만큼, 제도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여야는 오는 주말 추가 국감에서 김현지 실장 관련 자료를 다시 다루기로 하며, 관련 공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