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국까지 이동하는 백령도 괭이갈매기 최초 확인 - 백령도 괭이갈매기의 이동 경로 위치추적발신기로 확인 - 먹이터로 북한 해안지역 활용, 번식 후에는 중국까지 북상 김흥식 본부장=환경부
  • 기사등록 2019-09-19 16:38:17
기사수정


▲ 위치추적발신기와 가락지를 부착한 후 현장 방사한 모습


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은 올해 6월에서 8월까지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이동을 연구한 결과, 이들 괭이갈매기가 북한에서 먹이 활동을 하고 중국까지 이동하는 것을 국내 최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서해5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행동권과 이동경로 연구를 위해 백령도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에서 어미새 6마리에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했다.


국가철새연구센터: 서해5도에 서식하는 조류의 생태와 이동에 대한 연구를 위해 20194인천시 옹진군 소청도에 개소

 

백령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생태연구는 최초로 수행된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백령도 괭이갈매기 번식 집단이 먹이터로 북한 해안지역을 활발히 이용하며, 번식이 끝난 후 북한 해안을 거쳐 북상하여 중국 해안까지 이동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위치추적발신기가 부착된 괭이갈매기들은 백령도 동쪽에 위치한 황해남도 대동만을 따라 태탄의 간척지까지 오갔다.


또한, 백령도 북동쪽 황해남도 장연군 남대천을 따라 내륙으로 약 25km까지 이동했다가 백령도로 돌아오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 중 두 마리는 번식이 끝난 후 백령도를 떠나 북한 해안을 따라 북상한 후 압록강을 건너 중국 해안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 마리는 713일부터 북한 연안을 따라 북상한 후, 717일 이후 현재까지 백령도 북쪽 약 210km 지역인 중국 랴오닝성 동강시 해안에 머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한 마리는 625일부터 84일까지 평안북도 철산군 해안에서 머물다가 85일부터 이동을 시작하여 중국 다롄시 해안까지 이동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조류가 겨울에 월동을 위해 번식지보다 남쪽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과 반대되는 이동으로 향후 괭이갈매기의 월동지역이 어디일지 주목된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우리나라 철새의 이동 경로 규명을 위해 가락지와 함께 첨단 위치추적발신기를 이용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백령도는 물론 연평도와 소연평도의 괭이갈매기에 관한 장기적인 생태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0442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아산署, 호서대학교 내 불법촬영 점검
  •  기사 이미지 아산시 탕정면 행복키움, 어버이날 맞이 복지이장 특화사업 실시
  •  기사 이미지 아산경찰, 금융기관과 보이스피싱 예방 핫라인 구축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