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국토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19.1.17) 및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19.10.15)의 후속조치로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수립·발표하였다.
정부가 이번 방안을 통해 전국 각지의 수소 공급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자체와 민간 사업자, 수소차 이용자의 수소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계부처가 同 방안을 통해 제시한 수소 공급 및 수소 관련 인프라 확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수소 공급) 수소 생산 방식 다양화, 저장·운송 인프라 확충을 통해 증가되는 수소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고, 수소 가격을 지속 안정화한다.
’22년 수소차 6.7만대* 보급목표 달성시, 연간 약 3만톤의 수소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향후 지역별 특화된 방식의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 방식을 통해 이러한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계획이다.
* ’22년 수소차 누적 목표 : (승용차) 6.5만대, (버스) 0.2만대
연간 수소 수요(톤/年) : (승용차) 0.15, (버스) 9.7, (택시) 0.8, (트럭) 5
< </span>수소 공급 현황 및 추진계획 >
구분 | | 현 황 | | 추진계획 |
수도권 | | 부생수소(대산, 울산 등) 위주 | | 인천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 활용 ‘수소 유통 허브’ 및 파이프라인 구축 |
중부권 | | 충청도는 부생수소(대산) 위주 강원도는 추출수소(삼척) 위주 | | 지역 內 LNG 인수기지에서 해외수소 도입 |
영남권 | | 부생수소(울산), 추출수소(창원) 위주 | | 지역 內 LNG 인수기지에서 해외수소 도입 액화수소의 도입 및 활용 확대 |
호남권 | | 부생수소(여수) 위주 | | 재생에너지 활용, 친환경 수전해 확대 |
※ 수소 유통 허브 : 파이프라인 인근에 구축, 다수의 튜브트레일러를 충전하는 허브기지
또한, ‘수소유통센터*’ 설치를 추진하여 적정 수준의 수소 가격을 유지·관리하고, 장기적으로 대용량 튜브트레일러 제작,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 운송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중심의 수소 가격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 「수소경제법」 제정시 근거 마련 추진, 가스공사 등 적합한 전문기관 內 설치 검토
** 수소 공급價(생산지→충전소) : ’22년 6천원/kg, ’30년 4천원/kg, ’40년 3천원/kg을 목표로 추진
(수소충전소) ’22년까지 일반 수소충전소 및 버스 전용충전소를 주요 도시(250기), 고속도로·환승센터 등 교통거점(60기)에 총 310기*를 구축하며, ’19년말까지 이 중 86기**(누적, 착공포함)를 구축할 계획이다.
* 주요 도시(누적, 기) : (∼’19) 68기 → (’22) 250
고속도로, 환승센터 등(누적, 기) : (∼’19) 18기 → (’22) 60
** ’19.10월 현재 31기 운영중
또한, 등록자동차 수, 인구 수, 지자체 면적, 수소차 보급량, 교통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