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7월 전국의 녹조 발생 현황(7월 31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조류경보 전지점(29곳)에서 평상 단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6월 초에 발생한 낙동강 칠서 지점과 물금매리 지점의 녹조는 7월 초까지 지속되다가 장맛비에 의해 소멸하여 조류경보가 7월 21일부터 해제(칠서 7월 21일, 물금매리 7월 22일)되었고, 현재까지 양호한 상태를 유지 중이다.
다만 환경부는 대청호(회남)에서 조류경보제 ‘관심’ 단계 기준을 1회 초과(7월 27일)하여 남조류 개체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 조류차단막 설치·운영 등을 통해 녹조 확산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 </span>조류경보지점 분석 결과 >
7월 29일 기준으로 조류경보제 운영지점 29곳(시범운영 1곳 포함)의 주간 녹조 분석 결과, 낙동강에서는 올해 상반기에 유해남조류가 증가했으나 장맛비로 인해 7월 중순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하여 현재까지 대체로 양호한 상태다.
낙동강 칠서 지점은 6월 29일과 7월 6일에 2번 연속으로 조류경보 ‘경계’ 기준(10,000세포/ml)을 초과하는 유해남조류가 출현하여 경계 단계가 발령되었다. 다만 7월 2주부터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남조류가 큰 폭으로 감소했고, 이에 따라 조류경보가 7월 21일자로 해제되었다.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은 6월부터 이어진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유지되다가 칠서 지점과 마찬가지로 장맛비로 인해 남조류가 감소, 7월 22일자로 조류경보가 해제되었다.
다만 대청호(회남) 지점은 7월 5주차에 유해남조류가 전주에 비해 증가하며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1회 초과했고, 8월 1주차 분석 결과에 따라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될 수도 있다.
* 주 1회 채수하여 유해남조류세포수 1,000세포/mL 이상 2회 연속 초과시 발령
【 7월 조류경보제 주요 지점 측정 결과 (단위: 세포/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