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기후변화와 환경 위기에 적극 대응하고 신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할 그린뉴딜 유망기업 41개사를 1차 선정했으며, 2022년까지 총 100개사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 그린뉴딜 3대 분야* 중 하나인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2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환경부는 ‘녹색혁신기업’, 중기부는 ‘그린벤처’를 선정하여 연구개발에서 사업화까지의 성장 전 주기를 지원한다.
* ①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②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③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양 부처는 지난 7월 20일 공동 공고한 이후 부처별 협의를 거쳐 단계별 선정평가를 진행했으며, 최종 선정기업에 대한 공정성과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총괄조정(선정심의)위원회의 위원장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양 부처 공동위원장은 과학기술, 환경정책,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여 경륜과 전문성을 갖추고, 환경부 장관, 대학교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한 김명자 (사)서울국제포럼 회장이 맡았다.
이번에 선정된 그린뉴딜 유망기업 41개사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기업당 최대 30억 원의 사업화 및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받는다.
※ (녹색혁신기업) 기술개발 7.5억원(‘20년 2.5억원), 사업화자금 22.5억원(’20년 7.5억원) 등 최대 30억원(연간 10억원), (그린벤처) 기술개발 12.5억원(‘20년 2.5억원), 사업화자금 17.5억원(’20년 7.5억원) 등 최대 30억원(연간 10억원)
환경부는 녹색산업 5대 선도 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고하여 ‘녹색혁신기업’ 21개사**를 선정했으며, 선정된 기업은 청정대기 8개, 지원순환 6개, 스마트 물 6개, 생물 등 기타 1개 기업이다.
* ①청정대기, ②자원순환(포스트 플라스틱 포함), ③스마트 물, ④생물, ⑤수열에너지 등 기타분야
** 기업별 수요와 가용 예산 등을 고려하여 총 21개사 선정·지원(기업별 평균 9.4억원)
중소벤처기업부는 10대 녹색기술*분야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고하여 ‘그린벤처’ 20개사를 선정했으며, 선정된 기업은 신재생에너지 4개, 환경보호 및 보전 4개, 그린IT 3개, 탄소저감 2개, 첨단수자원 2개 순으로 다양한 녹색기술 분야 기업이다.
*「녹색인증제 운영요령」(중기부고시 제2020-36호)에 따른 녹색기술
** 이노비즈, 벤처기업 또는 기업부설연구소 인정기업 중 1개 이상 해당하는 중소기업
이번 ‘그린뉴딜 유망기업’ 선정은 우리나라에도 녹색산업 분야의 세계적 기업*이 나올 수 있는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정책자금·투자·보증 등 금융지원 연계 등 추가적인 지원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미국의 에이컴, 프랑스의 베올리아, 독일의 지멘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