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홍동곤)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 심의를 통해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9월 28일 확정했으며,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점검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2019년 잠정 배출량을 추정하여 함께 공개했다.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확정)은 2017년 대비 2.5% 증가했으며, 2019년 배출량(잠정)은 2018년 대비 3.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2018</span>년 배출량(확정) >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발전‧열생산, 화학, 중전기기, 반도체‧액정 부문의 배출량 증가로 2017년 7억 970만톤 대비 1,790만톤 증가(2.5%↑)한 7억 2,760만톤으로 나타났다.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 수요의 증가*에 따른 천연가스 발전량 증가(24.6%↑)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1,700만톤(6.7%↑) 증가했다.
* 발전량 : 2017년 553.5 테라와트시(TWh) → 2018년 570.6 테라와트시(TWh) (3.1%↑) (자료 : 2019년 에너지통계연보)
제조업·건설업 배출량은 2017년 대비 5만톤 증가(0.03%↑)했다. 세부 부문별로는 화학에서 533만톤 증가(13.1%↑)했고, 철강 416만톤(4.2%↓), 제조‧건설업-기타 부문 161만톤(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 부문 배출량은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에 따라 2017년 대비 533만톤 증가(13.1%↑)했다.
* 프로필렌, 에틸렌, 벤젠, 자일렌, 톨루엔, 부타디엔 생산량 2017년 대비 2.9% 증가
철강 부문 배출량은 유연탄 소비량 감소*에 따라 2017년 대비 416만톤 감소(4.2%↓)했다.
* 유연탄 소비량 2017년 대비 4.6% 감소
수송 부문은 국제 유가 및 국내 유류 판매가의 상승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23만톤 소폭 감소(0.2%↓)했다.
* 휘발유가 : 2017년 1,492 원/ℓ → 2018년 1,581 원/ℓ(6%↑)
기타(상업‧공공‧가정 등)부문은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소폭 감소(0.2%↓)했다.
* 국제유가(두바이유) : 2017년 53.2$/배럴(bbl) → 2018년 69.7$/배럴(bbl)
불소계 온실가스 소비 부문은 중전기기와 반도체‧액정 부문 위주로 2017년 대비 260만톤 증가(14.1%↑)했다.
중전기기는 친환경 개폐기 전환으로 육불화황(SF6) 폐기량이 증가(433%↑)하여 배출량도 220만톤 증가(83.7%↑)했다.
반도체‧액정 부문은 반도체 생산 증가로 공정가스 소비량이 증가(PFCs 27%↑, HFCs 32%↑)하여 배출량도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