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앞두고 백령도(인천 웅진군), 수도권(서울 은평구), 제주도(제주 애월읍)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국경을 넘어 장거리로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 23종*의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납, 칼슘, 수은, 비소, 망간, 니켈, 포름알데히드, 염화수소, 불소화물, 시안화물, 벤젠,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1,3-부타디엔), 디클로로메탄, 스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에틸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염화비닐(금속 성분은 그 화합물을 포함)
※ 측정항목(23종) 및 국내외 대기환경기준 설정 항목(21종) : 붙임 1참조
국립환경과학원은 초미세먼지(PM2.5) 등 12종은 2019년 한해 동안 측정한 값을, 벤젠 등 11종은 2019년 12월 1일부터 한달간 시범적으로 측정한 값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는 초미세먼지(PM2.5)를 제외한 20종에서 국내외 대기환경기준 및 권고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외 대기환경기준이 없는 칼슘의 경우 토양기원물질로 인체 유해성이 크지 않고, 불소화물의 대기 중 노출영향은 미미한 수준으로 판단(세계보건기구 대기질 가이드라인, 122~611ppb 농도로 8시간, 4년 이상 노출시 건강영향 유발)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 2019년 한 해 동안 측정한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40㎍/㎥이며,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0㎍/㎥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안 수도권 대기환경연구소에서 측정한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각각 46㎍/㎥와 26㎍/㎥이다.
제주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는 미세먼지(PM10) 농도는 24㎍/㎥,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11㎍/㎥(국내 대기환경기준의 48%, 초미세먼지는 73%)로 나타나, 21종 모두 국내외 대기환경기준 이하의 농도를 보여 지난해 한해 동안 쾌적한 공기질 환경을 보였다.
대기환경연구소 3곳에서 2019년 한해 동안 측정한 납 및 그 화합물 성분의 평균 농도는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500ng/㎥) 이하로 나타났다. 비소, 망간, 니켈 및 그 화합물의 경우 대기환경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 및 캐나다 준거치 이하로 나타났다.
※ 납, 비소, 망간, 니켈 농도(단위 ng/㎥): 백령도(16, 5.7, 9.1, 1.9), 수도권(18.6, 4.1, 9.7, 0.8), 제주도(6.9, 1.1, 4.7, 0.8)
이 기간 동안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의 총가스상 수은 평균 농도는 1.7ng/㎥으로, 수도권 지역인 은평구 불광동(1.3 ng/㎥)보다 다소 높았으나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1,000ng/㎥)보다 매우 낮았다.
*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 채택(’13.10), 우리나라 비준(’19.11)에 따라 수은관리종합대책 추진 중이며 총가스상 수은 농도를 측정 중
** 은평구 불광동 수은측정결과는 산성강하물 측정망에서 측정된 값임
백령도 대기환경연구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