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공중화장실 건물 부자재의 노후화로 미관을 저해하고 지붕 자재 낙하물로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화장실은 외부 디자인 개선과 더불어 유니버셜디자인을 적용해 장애인, 고령자, 어린이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등 남녀노소, 장애인, 비장애인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실시설계 후 BF(Barrier Free,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예비인증을 받은 공원화장실 정비사업은 사업완료 후 무장애 본인증까지 추진할 예정이다.제주시 공원녹지과장은 “공원을 찾는 모든 시민이 시설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유니버셜디자인을 확대 적용해 나갈 예정”이라며, “사업 기간 중 공원 이용에 불편함이 있더라도 시민들의 너그러운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