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민 출퇴근길 안전을 위해 도입을 추진해온 2층버스가 22일 광역버스 정규노선으로 첫 운행을 시작,남경필 지사가 오전 10시 김포시 대포리 차고지에서 탑승 체험을 했다.
첫 운행을 시작한 2층 광역버스는 김포한강신도시에서 서울시청까지 왕복 97km 구간을 이동하는 8601번 노선을 운행하며,도입된 2층버스 제원은 높이 4.0m, 너비 2.5m, 길이 13.0m이고 차실높이는 1층이 1.82m, 2층이 1.70m이며, 좌석수는 운전석 1석을 제외하고 1층 13석, 2층 59석으로 총 72석으로 일반 광역버스에 비해 대략 30석 이상이 많고 대당 가격은 4억 5천만 원이다.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저상버스 형태를 택했으며 차체기울임 장치, 휠체어경사판 등도 장착돼있고 이용객 편의를 위해 좌석마다 USB충전포트, 독서등, 하차벨을 설치했으며 무료 와이파이도 제공된다.
그리고 안전봉, 계단 손잡이, 정차벨 시인성, 장애인 좌석, 운전자 확인용 모니터, 워셔탱크 위치, 사이드미러 위치 등 이용편의와 안전상 보완이 필요했던 부분도 개선했다.
경기도는 운행을 시작한 8601번 노선을 시작으로 총 9대를 선박 수송일정을 고려하여 실제 운행 노선에 투입할 계획이며,그동안 시·군 대상 사업설명회와 도입 희망 수요조사 등을 거쳐 도입노선을 정해,10월 30일에는 8002번(대성리~잠실역), 8012번(내촌~잠실역) 등 남양주시 2개 노선과 8600번(양촌~서울시청) 김포시 1개 노선에도 각각 2층 버스 1대씩을 투입해 운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또 11월 10일에는 남양주 노선인 1000-2번(호평동~잠실역)에 1대, 김포 노선인 8601번(대포리~서울시청)에 3대를 투입하고, 11월 말경에는 8601번 노선에 1대를 추가로 투입키로하고 ▲ 사전 도로 장애물 점검, ▲ 전구간 좌석제 운행, ▲ 각종 안전 및 편의 시설 보강, ▲ 우수 운전자 선발 및 안전교육 실시 등 분야별 안전대책을 강구하고, 향후 운행상황 모니터링을 통해 2층버스의 확대 도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22일 오전 10시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 차고지에서 2층 광역버스의 첫 운행을 축하하기 위해 홍철호 국회의원, 문현호 김포부시장, 김포시민들과 함께 2층버스에 직접 탑승한후,그동안 광역버스 공급력 부족으로 인한 입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었다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2층버스가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