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5G 사업에 발맞춰 국내 ‘이음5G’ (5G 특화망) 전용 장비를 출시하며, 이음5G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음 5G (5G 특화망)는 이동통신 사업자外 일반 기업에서 직접 5G 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5G 주파수를 활용하는 통신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부터 4.7GHz 와 28GHz를 특화망 전용 주파수로 할당하고 상용 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진행해 오고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이음5G 전용 장비는 라디오 기지국과 컴팩트 매크로(Compact Macro)이며,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이음 5G 전용주파수인4.7GHz와 28GHz 대역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컴팩트 매크로(Compact Macro) 초고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5G 통합형 기지국으로, 무선통신부분(Radio Unit), 디지털통신부분(Digital Unit), 안테나를 하나의 함체로 통합한 제품으로, 자체 칩셋 내제화로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해 가로등, 건물 벽면 등에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전용 장비에는 4.7GHz와 28GHz 대역을 이중 연결하여 동시에 지원 하는 NR-DC(New Radio Dual Connectivity) 기술을 국내 최초로 적용했고, 이를 통해 특화망 사용 기업체는 주파수 활용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삼성전자 이음 5G 장비는 데이터 업로드 요구가 큰 기업 전용서비스 구현을 위해 주파수 업로드 비중을 일반적인 통신망(약 20%)의 2배로 확대, 약 40%를 업로드에 할당하도록 특화됐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 이음5G 전용 제품을 사용하는 기업체는 넓은 업로드 대역을 활용하여 공장, 오피스, SOC 시설 등에서 디바이스가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클라우드나 서버로 올리는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 영상 업로드가 가능해져 영상분석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생산공정 내 불량품을 검출하는 작업이나, 현장 담당자가 CCTV 관제탑과 증강현실(AR)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등의 기업 전용 서비스 활성화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B2B∙B2G 그룹 장용 상무는 “삼성전자의 이음5G 전용 장비는 당사의 5G 기술력과 기업용 5G 서비스에 대한 연구 결과가결합된 제품”이라며, “삼성전자는 국내 업체들과 함께 SOC 시설, 공장,교육시설, 공원, 콘서트장 등에서 이음5G망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발굴해 국내 이음5G의 상용을 확대하고, 공공의 이익 증진에 기여하길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있는 이음 5G 사업 수행을 위해 기업들이 총력을 다하고있다. 오늘(2일) sk네트웍스서비스는 이음 5G 주파수 할당을 신청했다. 또한 국립전파연구원에 따르면 어제(1일) 이음 5G 사업과 관련하여 이번에 4.7㎓ 대역에서 삼성전자와 노키아가 기지국을 인증 받았고 LG전자가 모뎀, 우리넷이 무선모듈을 받았다. 28㎓ 대역에서는 삼성전자가 기지국 인증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