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4일, 강서구 본사에서 열린 바이오인증 공항연계 업무협약식에서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왼쪽부터 두번째),
박종석 금융결제원 원장(왼쪽부터 첫번째), 강신숙 수협은행 은행장(왼쪽부터 세번째),
문진호 수협상호금융 금융부대표(왼쪽부터 네번째)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사장 윤형중)는 4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수협은행·수협상호금융 및 금융결제원과 비행기를 탈 때 바이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바이오인증 공항 연계 서비스’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서비스 운영을 개시했다.
이에 따라 수협은행·수협상호금융에서 손바닥 정맥의 바이오 정보와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고 공항에서의 정보 활용에 동의한 고객은 전국 14개 공항(인천공항 제외)에서 국내선 비행기 탑승 시 전용 게이트에서 빠르고 편리하게 신분 확인을 할 수 있다.
한국공항공사는 2018년부터 공항에서 등록한 바이오 정보를 활용해 신분 확인 서비스를 시행해 왔으며 지난해 9월 9개 금융기관(농협은행, 대구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축협, 새마을금고, 신협, 국민은행)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해 현재까지 총 2천824만 명이 이용해왔으며, 이번 협약으로 11개 기관으로 서비스 대상이 확대돼 이용객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공항공사는 수협은행·수협상호금융과 공동으로 항만에서도 바이오인증으로 신분증을 대체해 승선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며, 지난달부터 면세점·농협은행과 함께 손바닥 정맥의 바이오 정보를 활용한 공항 면세점 결제서비스 개발을 추진하는 등 바이오인증 기반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앞으로 바이오 정보 하나로 지하철, 버스 이용 시와 같이 항공기 탑승수속을 간소화하고 면세품 구매, 식음료매장, 환전 등 상업시설에도 바이오결제서비스를 도입해 여객 편의를 획기적으로 증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