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늘(23일) 오전 9시 시청 소회의실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46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부산시일자리위원회 위원, 시의원, 전문가, 기업 대표 등과 함께 '부산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 이번 회의는 인구 고령화, 근로희망 연령 상승, 높은 노인 빈곤율 등으로 장노년층 일자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특히 장노년 인구 비율이 높은 부산이 앞장서 지역 주도로 장노년(시니어) 일자리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코자 마련됐다.
□ 이날 회의에서 시는 참가자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3대 전략 16개 사업으로 구성된 '부산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 ▲부산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생태계 구축 ▲민간기업 장노년(시니어) 고용 활성화 ▲사회적 가치 제고 공공일자리 창출을 전략으로 세워 추진한다.
○ 2030년까지 시 60세 이상 고용률을 45퍼센트(%)까지 제고하고 시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창출 인원을 13만 명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예산도 올해 2천800억 원에서 내년에는 3천160억 원으로 늘리고 2030년에는 5천억 원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 첫 번째로, 부산이 선도하는 지역 맞춤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생태계를 구축한다.
□ 부산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통합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시 주도로 지역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지원기관과의 협력과 소통을 강화한다.
○ 전국 최초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통합지원시스템인 ‘부산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플랫폼’을 내년 1월부터 본격 가동한다. 이를 통해 시, 구·군, 중앙부처, 유관기관 등 부산지역 장노년(시니어) 고용 지원기관들의 모든 일자리 정보를 한눈에 접하고, 일자리사업 신청을 일괄로 할 수 있다.
○ 또한, 장노년(시니어) 전문가 인력(POOL)을 구성해 정규직, 단기근로, 비전속인(프리랜서) 등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 연결(매칭)을 지원하고, 장노년층 맞춤형 화면 구성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추천 일자리 정보 제공 등으로 이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시는 ‘부산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플랫폼’이 지역 장노년 일자리를 연계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토록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 시 주도로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지원협의체’를 신설·운영해 부산에 소재한 장노년층 고용 지원기관*간의 정책을 조율하고 협업을 강화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시, 부산지방고용청,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경영자총협회, 부산경제진흥원, 부산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 한국노인인력개발원(부산울산지역본부), 노사발전재단(부산중장노년내일센터)
□ 부산형 사회가치경영(ESG) 연계 장노년(시니어) 일자리를 대폭 확대해 탄소중립 실현과 함께하는 친환경 일자리를 늘려나간다.
○ 2022년부터 시, 구·군, 기업, 유관기관 등과 함께 운영하고 있는 ‘우리동네 ESG센터’를 내년에는 추가로 개소(5곳→10곳)하고 참여자를 확대해 탄소중립 실현에 이바지하는 부산형 친환경 장노년(시니어) 일자리를 크게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640명→2,030명)
○ 또한, ‘우리동네 ESG센터’ 활성화와 플라스틱 재활용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폐플라스틱을 방문 수거하고 선별·분류하는 ‘우리동네 ESG 자원순환단’도 함께 확대 운영해 일자리를 대폭 늘린다. (668명→1,600명)
○ 공공기관 및 기업 사회가치경영(ESG)과 연계한 신중년(50~69세) 사회가치경영(ESG) 일자리 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올해 ㈜지에스(GS)리테일, ㈜HUG,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도보 배달원, 걷기 안내원(트래킹 가이드), 공정여행 강사단 등을 추진한 바 있으며 내년에는 협업 확대로 일자리 창출을 늘릴 계획이다.
□ 장노년(시니어)의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민간 일자리 창출을 더욱 촉진시키고 대학과 협업해 맞춤형 직업교육 및 논스톱 취업을 연계한다.
○ 올해 최초로 추진하고 있는 ‘부산형 장노년(시니어) 적합직무 지원사업’*을 내년에는 더욱 고도화해, 청소, 경비, 단순 서비스 등에 집중된 장노년(시니어) 고용시장을 개선하고 장노년층의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하는 민간 일자리 창출을 촉진한다.
○ 특히, 사업주 지원금액을 근로시간에 따라 차등 지원하고 장노년(시니어) 채용기업뿐 아니라 입사자에게도 혜택(인센티브)을 지원하는 등 기업과 장노년층의 참여 확대와 체감 효과 향상에 주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