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이큐어 "미세전류테라피워치" "허혈성뇌졸중(Iscemic stroke) 전임상" 효과입증
- 대구 가톨릭대학교 권동락교수팀 전임상결과 논문 국제학술지 등재 -
- 제3의학 미세전류테라피의 인류건강기여 다양성 확장 선도 -
-------------------------------------------------------
(주)이큐어의 ”테라피워치“를 활용한 대구 가톨릭대학교병원 권동락교수팀의 알츠하이머 전임상 2편, 동맥류 전임상 1편에 이은 뇌경색 전임상 1편 논문이 국제학술지(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2024년 9월 18일 등재 되었다.
이번 연구결과 중대 뇌동맥 폐쇄(MCAD)로 인한 허혈성 손상인 뇌졸중의 효과에 대한 실험으로 쥐 모델에서 미세전류(저주파자극)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핵심 역할영역의 뇌 속 해마 CA1 허혈손상“과 ”대뇌 피질, 해마체, 편도체에 분포하는 다극성 뉴런의 일종인 피라미드 세포(pyramidal cell)손상“을 상당히 감소 시켰다. 그래서 허혈성 손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회복을 촉진하고 염증을 줄이며,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허혈성 뇌졸중에 대한 치료전략차원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결과, 아래 사진처럼 1주일간의 전기자극만으로도 좋은 결과가 나온것이다.
(질환유발후 미세전류 치료군 모습)
<논문내용일부>
마우스 A(대조군), B(MCAO질병), C(MCAO후 미세전류치료), D(예방 및 회복)
1.동작분석 : 이동거리(속도)
A :1945cm(6.48cm/s) B : 767cm(2.5cm/s) C : 1781cm(5.43cm/s) D : 2122cm(6.82cm/s)
2.조직학적 경색 부위 분석(경색면적)
B : 14% /C : 5% /D : 1%
3.해마의 조직 병리학
해마 CA1영역의 1mm 범위에서 변성피라미드 세포 손상의 백분율로 나타내면,
A : 5.66% /B : 59.94% /C : 19.86% /D : 8.65%
4.염증분석(면역조직화학염색법)
A : 0% /B : 31% /C : 14% /D : 4%
5.CD68 발현에 대한 면역 조직하부 WESTEM BIOT분석 (CD68, IL-6, TNF-a 양성면적)
B : 29.18% 31.76%, 31.82% /C : 20%, 20%, 20% /D : 12%, 7%, 8%
6.미세아교세푸,대식세포,림프구 및 단핵구(CD68, IL-6, TNF-a 경색부위 염증 마커 상승)
B : 5620 1421, 1900 C,D : 상당히 감소
7. 세포사멸이 진행될 때 나타나는 Capnse-3의 활성화
A : 1.00 /B : 3.18 /C : 1.19 /D : 1.00
8. DNA 손상에 관련하여 특히 D군에서 A군과 유사하게 억제
* 논문등재지 ”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
* 제목: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Peripheral Nerve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in a Rat Model of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논문사이트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