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고용률, 실업률 등 부산의 고용지표가 계속해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어제(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부산 고용지표는 역대급 기록을 달성했다.
○ 부산의 고용률은 매년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주요 생산가능 연령대인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기준 15~64세 고용률은 역대 10월 기준 고용률 중 최고치이자 통계 작성 이래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인 67.3퍼센트(%)를 나타냈다. 이는 특·광역시 중 서울‧인천에 이어 가장 높은 수치다.
○ 국제노동기구(ILO) 기준 15세 이상 고용률도 58.3퍼센트(%)를 기록해 역대 10월 고용률 기준 2002년 이래 최고 수치를 달성했으며, 실업률도 1.9퍼센트(%)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며 특·광역시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단위: %)
구 분
‘20년 10월
‘21년 10월
‘22년 10월
‘23년 10월
2024년 10월
15~64세 고용률
63.2
63.9
65.9
66.9
67.3
15세이상 고용률
56.1
56.5
57.7
58.1
58.3
실업률
3.5
2.6
2.8
2.9
1.9
□ 일자리의 안정성도 높아지고 있다. 고용이 안정적인 제조업 분야의 취업자 수 증가세가 9개월째 지속되고 있으며, 상용근로자 수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 전국의 제조업 취업자 수는 3만3천 명 감소했으나, 부산의 제조업 취업자는 2만3천 명이 증가했다. 증가 폭도 10.5퍼센트(%)로, 대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 큰 폭으로 증가했다.
○ 부산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24년 2월부터 연속 9개월째 증가*하며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 부산본부에서 발표한 부산지역 경제 동향(’24.10월)에 따르면 전자부품‧기계장비 등 제조업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 (‘24.2.) 3천명(1.4%) → (‘24.8.) 11천명(5.1%) → (‘24.9.) 24천명(10.8%) → (‘24.10.) 23천명(10.5%)
** 부산 제조업 생산 7.3% 증가(전년동월 대비) : 전자부품 97.5%, 기계장비 12.5% 등
○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부산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수는 6만2천 명 증가한 95만 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6.9퍼센트(%)로 특·광역시 1위이며, 전국 상용직 증가 폭이 0.6퍼센트(%)인 것에 비해 부산의 상용직 근로자는 큰 폭으로 확대된 것도 고무적이다.
○ 임금근로자는 2022년 이후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자영업자의 임금 근로자의 전환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특・광역시 상용근로자 증감률(‘24. 10월 기준, ’23. 10월 대비)>
(단위: %)
구 분
부 산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상용근로자
6.9
①위
-0.3
④위
-2.3
⑤위
4.9
②위
1.0
③위
-7.4
⑦위
-2.9
⑥위
□ 시는 내수경기 부진에 따른 건설업 취업자 감소 등에 대해서는 대응 정책을 마련하는 등 지속적으로 개선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 내수경기 부진이 계속됨에 따라 건설업과 도소매․숙박음식업 취업자 수는 감소하고 비경제활동인구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도소매․숙박음식업의 감소폭은 둔화*되는 모습이 새롭게 나타났다. 앞으로 경기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등 지속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 (‘24.9.) 361천명(-45천명, -11.1%) → (’24.10.) 363천명(-32천명, -8.1%)
□ 박형준 시장은 “부산 제조업의 회복과 일자리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라며, “앞으로도 경기 변동에 대응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시민행복 일자리 도시' 실현에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