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오는 2052년 우리나라의 총가구 수는 2328만 가구로, 2022년에 비해 162만 가구 늘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가구원 수는 꾸준히 줄어 전국의 평균 가구원 수가 2022년 2.26명에서, 2052년에는 1.81명까지 줄 것으로 내다봤다.
시도별로는 충남과 경북이 1.65명으로 가장 적고, 서울은 1.82명 가구원 수가 가장 많은 세종도 1.93명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모든 시도에서 평균 가구원 수가 2명 아래로 내려갈 거란 전망이다.
가구 유형 역시 17개 시도 모두에서 1인 가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2052년에 예상되는 1인 가구의 비중은 강원 45.7% 충북 44.5% 대전 44.1% 등으로 평균 41.3%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된다.
통계청은 2052년이 되면, 전체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에서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비중이 5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