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으로 매년 1조 원 이상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국비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에는 1조 3,312억 원을 유치해 전년 대비 17.2퍼센트(%) 증가한 역대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 최근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이 발간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부산시 유치현황’ 보고서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국가연구개발 부산 유치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가 연구개발예산의 연평균증가율(CAGR)은 8퍼센트(%)인데 반해, 시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치액의 연평균증가율은 9.3퍼센트(%) 수준으로 조사됐다.
|
○ 부산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치액은 2021년 최초로 1조 원을 돌파한 이래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2022년 대비 2023년 전체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이 6.6퍼센트(%) 증가한 것에 비해 시 유치액은 전년 대비 17.2퍼센트(%) 증가했다. 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부처별 지자체 사업 유치액 순위는 ▲해양수산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 개정된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총 22개 대분류) 기준 연구 분야별 유치액은 ▲기계 분야가 가장 높았고 ▲과학기술과 인문 사회 분야가 뒤를 이었다. 또한, 연구 수행 주체는 ▲대학 ▲중소기업 ▲출연연구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22.6%), 대학(9.2%) 순으로 국비유치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과 매출 증가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