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 개의 콘크리트 기둥이 받치고 있는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시설은 2007년 개항 때 만들어졌다.
이후 개량공사 때 바로잡을 기회가 있긴 했다.
2020년 한국공항공사의 개량공사 발주서, 안테나와 철탑, 기초대 등을 설계할 땐 부서지기 쉽도록 고려하라고 했다.
하지만, 2023년 개량공사를 하면서 콘크리트 둔덕 위에 오히려 30cm 두께의 콘크리트 상판이 덧대어졌다.
소관 부처인 국토부는 최초 시공은 물론 개량공사 때 왜 부서지기 쉬운 재질을 쓰지 않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전반적인 과정을 조사 중이라고만 밝혔다.
공사를 발주한 한국공항공사 측은 국토부를 통해 자신들은 부서지기 쉽도록 지으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입장을 전했다.
하지만 최종 승인권자였던 부산지방항공청은 KBS에 "개량 공사는 노후 장비를 갈아 끼우는 것"이었다며 "근본적인 설계를 검토하는 건 아니"라고 주장했다.
설계와 시공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는지 각각 업체를 찾아가 봤지만, 규정대로 했다는 입장만 돌아왔다.
활주로 이탈 시 '첫 번째 걸림돌이 되는 로컬라이저까지 안전구역을 연장해야 한다'는 비행장 시설 설계기준은 최소 2006년부터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