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시는 오는 3월 14일부터 16일까지 애월읍 새별오름 일대에서 ‘2025 제주들불축제’를 개최한다.
❍ ‘우리, 희망을 피우다’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다사다난했던 지난해를 뒤로하고, 새해 희망을 기원하며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 이번 축제에서는 지난해 시민기획단 논의 결과와 전국 콘텐츠 공모, 자문단 의견 수렴 등 검토 과정을 거쳐 제주시가 자체 수립한 2025 제주들불축제 기본계획에 따라 ‘제주를 대표하는 지속 가능한 축제’를 목표로 3가지 추진 전략을 실행하게 된다.
❍ 첫째, 제주 목축문화와 방애를 상징하는 ‘불’을 테마로 횃불대행진, 달집태우기 등 축제 전통을 유지하고, 미디어아트와 아티스트들의 연주를 더하여 ‘위로와 희망, 감동’을 도민과 관광객들에게 전달한다.
❍ 둘째, 1,000여 명이 참여하는 읍면동 풍물패의 공연과 시민들이 직접 희망의 불씨를 전달하는 퍼포먼스가 결합하여 ‘희망을 피우는 공연’이 진행된다.
❍ 셋째, 제주 목축문화 등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체험 콘텐츠를 개발해 운영하고, 불놓기로 통제되었던 새별오름을 상시 개방하여 오름 트레킹 등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2025 제주들불축제는 3월 14일(금) 삼성혈에서 희망불씨 채화를 시작으로 3일간 화려하게 진행된다.
❍ 14일(첫째날)은 희망기원제, 각종경연대회와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축제의 흥을 올리며, 저녁 개막식에서는 희망불 안치 퍼포먼스와 함께‘희망, 틔우다’를 주제로 한 공연이 펼쳐져 모두의 안녕과 희망을 기원한다.
❍ 15일(둘째날)은 기존의 오름불놓기 대신,‘희망, 오르다’를 주제로 횃불대행진과 달집태우기 등 ‘불’관련 테마를 진행하고,
- 세계적인 음악가 양방언을 포함한 아티스트들의 퍼포먼스와 함께 미디어파사드, 빛, 조명, 불꽃 등으로 디지털 연출기술을 활용한 불놓기를 조화롭게 연출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통해 제주들불축제만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방문객들에게 환희와 희망을 안길 예정이다.
❍ 16일(셋째날)에는 희망이 지속하기를 바라면서‘희망, 잇다’를 주제로 청소년가요제, 새희망 묘목 나눠주기, 들불큰장(특산물할인프로그램)을 끝으로 축제는 막을 내리게 된다.
❏ 제주시는 축제장을 찾는 방문객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청결한 축제장 조성에 노력한다.
❍ 행정안전부 ‘지역축제장 안전관리매뉴얼(‘24.9.개정)’에 따라 안전관리 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해 나간다.
❍ 불꽃쇼 연출과 관련해서는 친환경 불꽃 등을 축제 운영에 필요한 부분에만 최소한으로 투입하고, 관련 법령을 준수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 축제장 차량 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셔틀버스 노선을 추가하고, 축제장 내 재활용 도움센터 2개소와 쓰레기 수거차량 및 살수차를 운영하여 청결한 축제장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 지난 축제 때 메인행사 진행을 위해 통제되었던 새별오름이 2025년에는 축제 기간 내내 자유로운 등반이 가능하게 되었다.
- 이에 맞춰 오름 이색 등반프로그램으로 자연의 소리와 함께하는 ‘사운드스케이프’, 저녁시간 이후 ‘썬셋트래킹’, ‘나이트트래킹’을 선보일 예정이다.
❏ 그 외 체험콘텐츠 요소로
❍ 제주의 전통을 알리는 취지로 ‘제주 민속놀이 전국대회’를 신설하여 전국에서 온 축제방문객들이 제주민속놀이를 직접 다양하게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며, 기존 축제에서 반응이 좋았던 밭담(잣성)쌓기 등 제주의 고유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들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 이와 함께 시대의 변화에 맞춰 축제장 내외에서 기후․환경에 대한 미션을 해결하면 기념품을 제공하는 탄소중립스탬프랠리, 환경정책에 대한 퀴즈쇼 등을 도입 축제 방문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을 다지면서, 재활용품 활용, 업사이클링프로그램, 지류형 홍보물 자제 등 환경을 생각한 축제를 운영할 계획이다.
❏ 김완근 제주시장은 “제주의 정체성과 생태 가치를 지키고, 시민참여 축제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디기 위해 전 부서가 협력하여 축제의 완성도를 높여나가겠다”는 각오와 함께 “2025년 제주들불축제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첫해인 만큼 제주를 대표하는 희망과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