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경기 고양시장은 20일 '벤처기업 육성 촉진 지구'를 포함한 지식산업센터의 입주 업종을 확대하고 기업들의 편의성을 고려한 입주환경을 조성해 첨단산업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고양시는 일산신도시를 비롯한 정부 주도 택지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주택이 공급돼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지만, 수도권 규제에 막혀 산업기반은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고양시 공업 물량은 일산테크노밸리에 도시첨단산업단지로 배정된 10만㎡와 대곡역세권에 배정 예정인 6만6천㎡가 전부다.
이런 상황에서 제조업과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 벤처기업 사업자가 복합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지식산업센터는 중첩 규제 속 기업 유치 핵심 시설로 주목받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는 수도권 공장 건축면적을 제한하는 공장총량제에서 제외돼 과밀억제권역에도 건축할 수 있고, 개별 공장 입주 또한 비교적 수월하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취득세·재산세도 각각 35%까지 감면 혜택이 적용된다.
고양시에는 현재 연면적 약 179만㎡(총 54만 평)에 이르는 25개 지식산업센터에 산업시설 약 1만 개가 운영 중으로 2023년 기준(18개) 82%의 입주율을 보인다.
지난해 입주가 시작된 7개 지식산업센터는 26% 정도 입주가 진행됐다.
내년까지 연면적 47만㎡(총 14만 평) 규모의 6개 지식산업센터가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경기 북부 최초로 지정된 벤처기업 육성 촉진 지구 안에는 백석동·동산동·원흥동의 지식산업센터 10개가 포함됐다.
벤처기업이 촉진 지구 내 지식산업센터를 취득·사용하는 경우 취득세 및 재산세를 50%까지 감면받을 수 있고 각종 부담금 또한 면제돼 우수한 기업들의 입주가 예상된다.
시는 지식산업센터에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이 입주해 지역경제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입주업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전국 최초로 지식산업센터 업종 규제를 완화해 입주업종을 97개에서 114개로 확대했다.
당초 지식산업센터 입주업종은 제조업·지식산업·정보통신산업 등에 국한됐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산업단지 내 지식산업센터 입주업종을 도박업·주택공급업 등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으로 완화했지만, 산업단지 밖 지식산업센터의 경우 지자체장 권한에 맡겨 지자체별로 입주업종이 다른 상황이다.
추가된 업종은 17개로 입주기업 경영에 필요한 법무·회계·세무 관련 서비스업을 비롯해 시가 집중 육성 중인 방송·영상·오디오 업과 스마트팜 수직농장,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제조업 등이 포함됐다.
입주업종 확대 이후 지난해 말 기준 향동지구 지식산업센터 입주율은 18%에서 43%로 25%p 증가했으며, 덕은지구 입주율도 78%에서 88%로 약 10%p 증가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지식산업센터 입주업종을 일산테크노밸리와 방송영상 밸리 등 시 역점산업단지와 연계 시너지가 큰 업종까지 확대할 계획"이라며 "산업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신설되는 지식산업센터에도 기업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