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의회 장수군 선거구 박용근 의원이 최근 불거진 FECO 시스템(Facility Energy Control Optimization System) 도입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그는 1월 21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자신에게 제기된 30억 원대 사업 청탁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며, 도청의 태양광 시스템 도입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과 자신이 배제된 배경에 의문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이번 논란이 도민들에게 혼란을 준 점에 사과하며 실체적 진실을 명확히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2022년부터 환경복지위원회에서 활동하며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 기술 도입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다고 밝혔다. 그가 논의한 FECO 시스템은 조명, 냉난방, 전기 설비 등을 통합 관리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그는 이 시스템을 도청 청사에 도입하면 매년 약 4.2억 원의 전기료 절감 효과가 기대되며, 절감된 비용은 직원 복지비로 활용할 계획이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도청은 논의 도중 FECO 시스템 대신 28억 원의 도민 세금이 투입되는 태양광 시스템 도입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비용 부담이 없는 FECO 시스템을 배제하고,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는 태양광 시스템으로 전환한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태양광 시스템 도입 계획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어 그는 자신에게 제기된 30억 원대 사업 청탁 의혹에 대해 "해당 사업은 100% 국가 지원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도청 직원이 여러 시설에 시스템을 확장 적용하기 위해 작성한 금액이 약 23억 원에 달한다는 점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고 해명하며, "언론 보도를 통해 과장된 금액이 부풀려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번 사업과 관련한 어떠한 청탁도 없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다.
공무원노조와 한국노총 전북본부가 발표한 성명서에서 제기된 '갑질' 의혹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적극 해명에 나섰다. 그는 "FECO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한 협의 과정에서 발생한 오해"라며 해당 의혹을 부인했다. 이어 "노조의 지적과 개선 요구에 공감하며, 앞으로 더욱 신중하고 투명한 의정활동으로 도민의 신뢰를 얻겠다"고 약속했다.
박 의원은 민주당 전북도당과 도의회의 자료 요구에 성실히 응하며, "실체적 진실을 명확히 밝히고 도민의 뜻을 받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자신의 의정활동을 돌아보고, 도민들에게 신뢰받는 도의원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논란은 도청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 추진 과정에서 FECO 시스템 도입 논의가 배제되고 태양광 시스템으로 전환된 이유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됐다. 박 의원은 도민 세금 투입이 불필요한 FECO 시스템을 대신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태양광 시스템으로 변경된 결정 과정에 대해 명확한 해명을 요구하며 논란 해소를 촉구했다.
그는 도민들에게 이번 사건의 본질을 알리고, 투명한 의정활동으로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앞으로 도청과 관련 부서의 추가 해명과 논의 과정이 이번 논란의 해소 여부를 결정지을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