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안정을 위한 정부의 벼 재배면적 조정제가 시행되는 가운데, 일반 벼 재배 농가들이 생산단수가 낮고 품질이 좋은 친환경 벼 재배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와 충북도 차원의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친환경 벼 재배를 장려하기 위한 2025년 주요 시책으로는 ▲(제도)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논 단가 인상 및 당해 연도 신규 친환경인증 필지에 대한 예외 규정 신설 ▲(판로) 친환경 벼 전환 시 공공비축미로 전량 매입 ▲(혜택) 벼 재배면적 조정제 감축 이행으로 인정(20%) 등이 있다.
이에, 무농약 및 유기 벼 재배 농가는 전년에 비해 ha당 각각 25만 원이 인상된 75만 원, 95만 원의 직불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신규 친환경 벼는 당해연도 7~8월에 인증을 받아도 직불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친환경농업직불금은 기본형 공익직불금과 중복 수령도 가능하므로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친환경 벼 전환 시 공공비축미로 전량 매입되어 안정적인 판로를 보장받을 수 있다.
특히, 충북도에서는 도비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라고 할 수 있는 친환경인증농가 환경보전비 사업의 지침을 개정하여 ’25년 친환경 벼 전환 농가에 한하여 ha당 81만 원의 환경보전비를 지급할 계획이다.
또한, 시군의 자체 사업 등과 연계하여 친환경단지 내 관행 필지나 새로운 재배단지 조성을 통해 친환경 벼 재배면적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농업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친환경 농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