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트럼프 1기 때도 수입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 고율의 관세를 매기겠단 압박이 있었다.
수입품이 국가 안보를 위협할 때 적용하는 '무역확장법' 232조가 근거였다.
당시엔 정부가 협상을 통해 무관세를 유지하는 대신, 철강 수출 물량을 기존의 70% 수준으로 묶는 '쿼터제'에 합의했다.
이번에 25%의 추가 관세가 어떤 방식으로 부과될지 불투명한 상황.
최악의 시나리오는 현재 무관세로 수출하고 있는 '쿼터제' 물량 전체에 관세가 붙는 거다.
무관세 '쿼터' 물량을 줄이고 추가로 더 수출하려면 관세 25%를 내라고 나올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주요 수출 기업들과 긴급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에만 부과되는 게 아니라 영향이 제한적일 거란 전망도 있지만, 철강 제품은 이미 세계적인 공급 과잉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의 저가공세 등으로 미국 외 국가들로 수출을 돌리는 것도 쉽지 않다.
현대제철과 포스코 등은 미국 등 현지에서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