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韓 1분기 성장률 -0.2%... JP모건 0.7%→0.5% 하향 조정 추현욱 사회2부기자
  • 기사등록 2025-04-24 20:53:29
기사수정


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건설·설비투자와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으로 3분기 만에 다시 역성장했다.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이 당초 예상한 1.5%보다 크게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1분기 GDP 성장률 충격으로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0%대 중반으로 낮췄다.


한은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지난 2월 공식 전망치 0.2%보다 0.4%p(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깜짝 성장’(1.3%) 이후 곧바로 2분기 -0.2%까지 떨어졌고, 3분기와 4분기 모두 0.1%에 그치는 등 뚜렷한 반등에 실패하다가 결국 다시 역성장의 수렁에 빠졌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각 -0.4%포인트, -0.2%포인트를 기록했다. 그만큼 성장률을 깎아내렸다는 뜻이다. 민간소비(0%포인트)와 정부소비(0%포인트)는 성장률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내수와 순수출(수출-수입)로 나눠보면,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전체 내수는 0.6%포인트 성장률을 주저앉혔고 순수출은 오히려 0.3%포인트 끌어올렸다. 수출이 줄었지만, 수입 감소 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

한은은 올해 연간 성장 경로에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면서도 2분기에는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내수가 빠른 속도로 회복하기는 어렵지만 2분기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소폭 개선될 가능성은 있는 것 같다”며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고, 지난해 10월 이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하한 효과도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선 관련 예산 집행, 적극적인 정부 지출도 2분기 성장률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꼽았다. 하지만 미국발 관세 영향이 확산하는 등 불안 요인도 여전하다.

1분기 GDP 성장률이 부진하자 JP모건은 한국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 8일 0.9%에서 0.7%로 내린 지 약 2주 만에 다시 0.2%포인트 내린 것이다. 씨티은행 역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6%로 0.2%포인트 낮추고, 내년 성장률도 1.6%에서 1.3%로 하향했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한은 기준금리 전망도 수정했다. 이번 인하사이클 최종금리 수준 전망을 연 2.00%에서 1.50%까지 내렸다. 그는 한은이 올해 5월, 8월, 11월, 내년 2월, 5월에 0.2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6406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더불어민주당-임업후계자협회, 지속가능한 산림 위해 손잡다
  •  기사 이미지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서 북한 환대
  •  기사 이미지 하마스 인질 한 명 전격 석방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