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난 4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 「제10차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가 전 세계 100여 개국, 2천3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폐막했다고 밝혔다.
○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는 10주년을 맞아 부산에서 열렸으며, 세계 정부,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기업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양 보호, 지속 가능한 어업, 기후위기 대응 등 인류의 해양 문제를 논의하고 실천을 다짐하는 뜻깊은 무대가 됐다.
□ 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해양디지털 의제 선도 및 공약의 실천 강화 ▲순환경제 모델 글로벌 홍보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유럽연합(EU) 등 주요 국제기구·회원국과의 협력관계 강화 ▲미래형 해양산업 관광환경 비전 제시 등 다양한 성과를 남기며, 해양환경 보호 실천을 선도하는 강력한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 특히, 시는 지방정부 최초로 3년 연속(8차·9차·10차)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 자발적 실천 공약을 제출하며,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책임을 지속해서 실천해 나가는 모습을 국제사회에 각인시켰다.
○ 올해의 특별의제인 ‘해양디지털’ 분야의 강점을 살려, 제8차에 제출한 ‘부산샛(BusanSat) 활용 해양미세먼지 공동연구’의 공약을 이어 발전시키고, 제10차에서는 디지털 기반 실천 공약으로 ▲데이터 기반 지능형 해양환경관리 플랫폼 구축 ▲미래지향적 해양환경정화선 건조 사업의 이행을 약속했다.
○ 이는 시가 디지털 혁신을 통한 해양환경 실천모델을 제시하며, 첨단 해양도시로서의 경쟁력과 국제사회에 책임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 3일간 이어진 본회의와 고위급 세션에서는 총 277건 이상의 새로운 해양보호 실천 공약이 발표됐으며, 누적공약 수는 2천895건이다.
□ 한편, 시는 「제10차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를 계기로, 다양한 국제협력 성과도 끌어냈다. 특히, 해양환경 분야 국제협력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며, 부산이 해양환경 보호 실천을 넘어 글로벌 해양 민관협력(거버넌스) 강화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는 도시임을 입증했다.
○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주관 포럼에서는 각국의 블루카본* 생태계 복원 모델과 해양 탈탄소 전략을 논의했다. 박형준 시장이 직접 친환경 선박 개발, 자율운항 기술, 블루카본 생태계 조성 등 첨단 기술 기반의 해양 탈탄소 전략을 소개하는 등 부산이 지속 가능한 해양경제 실현과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이바지하는 선도도시임을 강조했다.
* 블루카본(Blue Carbon): 갯벌, 잘피, 염생식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 등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
○ 또한, 유럽연합(EU)·11개 회원국 대표단과의 간담회를 통해 부산이 글로벌 해양허브도시로서 주요국과의 협력 기반을 한층 더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 또한, 시는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 시민참여 의식 확산을 위해 지역기업·단체와 연계해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 실천 공약 이행에 부합하는 사전행사를 전개했다.
○ 지역기업, (사)한국해양구조협회와 함께 침적폐기물 수거 캠페인을 추진, 시민참여형 해양환경 보호 활동을 진행했으며,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 주요의제인 해양오염 방지와 순환경제 구축에 지역사회의 동참을 끌어냈다.
○ 이는 국제회의의 시민참여 한계를 넘어, 시가 시민과 함께 지속 가능한 해양환경보호를 실천하는 모범적 모델을 제시했다.
□ 시는 이번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 성과를 바탕으로 ▲2026년 「동아시아해역 환경관리협력기구 지방정부 네트워크(PNLG)」 포럼 준비에 본격 착수하고 ▲2028년 유엔해양총회(UNOC) 한국개최 확정 시, 부산 유치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 시는 「아워 오션 콘퍼런스(OOC)」의 성공개최를 통해 이후에도 국제해양환경 민관협력(거버넌스) 논의를 선도하며, 지속 가능한 글로벌 해양협력의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