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직접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다.
당초 현지 시각 15일 협상이 시작될 계획이었지만 일단은 불발됐다.
러시아 타스 통신은 세부 계획상 이유였다며, 16일엔 양측이 만날 거라 보도했다.
전쟁 초기인 2022년 3월 결렬된 이스탄불 협상 이후 양측이 처음 테이블에 마주 앉지만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협상단을 '장식용'이라고 비판했고, 러시아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광대'로 칭하며 맞받는 등 시작 전부터 기싸움을 벌였다.
협상 자체도 양측의 이견이 워낙 크다.
러시아 대표단은 이번 협상을 2022년 중단된 협상의 연장선으로 생각한다.
당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추진 철회와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 주권 포기 등 사실상 우크라이나의 항복을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우크라이나 측은 일단은 휴전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미국도 이번 협상에 큰 기대를 걸지 않은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푸틴과 만나기 전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거라 말했다.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현재를 정체 국면으로 표현하며 트럼프 대통령만이 이를 돌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