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돌파구 찾지 못해
  • 장은숙
  • 등록 2025-05-23 09:34:05

기사수정
  • - 드론과 미사일로 충돌 갈수록 격화


▲ 사진=kbs뉴스 영상 캡쳐

굉음과 함께 큰 폭발이 일어난다.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벌어진 일이다.


러시아 국방부는 현지 시각 20일 밤부터 22일 오전까지 러시아 전역에서 드론 480여 대를 격추했다고 밝혔다.


주로 밤과 새벽 등 취약 시간에 집중됐던 드론 공격은 최근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종일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도 우크라이나를 향해 미사일을 퍼부었다.


현지 시각 21일, 북동부 수미주를 공습해 우크라이나군 6명이 숨졌고 다음날엔 미국산 패트리엇 대공 미사일 발사대 2대와 레이더 등을 파괴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이스탄불 대면 협상, 푸틴과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도 큰 소득 없이 끝난 이후 양측의 충돌은 더 격화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경을 따라 '완충 지대'를 조성하기로 했다고 또 일방 선언했다.


탈환을 선언한 쿠르스크를 직접 찾기도 했는데 자신이 협상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는 걸 과시하려는 의도란 분석이 나온다.


우크라이나와 서방의 휴전 요구는 거부한 채 평화 협정을 위한 각서 작성을 제안한 러시아 정부는 '적법한 서명자'를 거론하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정통성 문제를 다시 꺼내 들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강원도 고성 현내면 금강산 콘도 풍경 동해와 설악의 능선이 이어지는 강원도 고성 현내면 금강산, 기암과 해안이 어우러진 이곳에서 바라본 풍경은 바다와 산이 함께 전해주는 깊은 휴식이다.
  2. 이스라엘 공습, 후티 총리와 하마스 대변인 잇달아 사망…중동 긴장 고조 이스라엘의 연이은 공습으로 중동 정세가 급격히 흔들리고 있다.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는 지난 28일 수도 사나에서 열린 회의 도중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아메드 갈리브 알라위 총리와 장관들이 사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후티 최고정치위원회는 즉시 무함마드 아메드 마프타흐 제1부총리를 총리 직무 대행으로 임명했으며, 마.
  3. 몽골 정부, ‘토그로그 누르 에너지’ 탐사 허가 취소…전략광물로 지정 추진 몽골 국무총리 간당 사단다샤타르는 최근 광업·석유청에 “토그로그 누르 에너지 유한회사가 광구 자원 평가를 바탕으로 경제성 평가를 제출했음에도, 법정 기한 내 관련 계약을 체결하지 않아 법 위반에 해당한다”며 허가 취소를 지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광업법 제56조 1항 8호에 따른 것이다.아울러 정부는 2007년 의회 결의..
  4. 中 전승절 찾는 우원식…김정은과 마주칠 가능성 관심 우원식 국회의장이 2일 저녁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전 80주년 열병식(전승절)’ 행사 참석을 위해 출국했다. 국가 의전 서열 2위인 우 의장은 사실상 정부 대표로 전승절 행사에 자리한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이번 행사에 참석하면서, 양측이 텐안먼 광장 망루나 리셉션 등에서 조우할 가능성.
  5. 가을 밤 밤은 가을의 상징처럼 다가오는 열매다. 가시 돋친 송이 속에 숨어 있다가 단단한 껍질을 벗기면, 고소하고도 은근한 단맛을 품은 알맹이가 드러난다. 구워 먹거나 삶아 먹을 때의 따뜻한 향은 오래된 풍경처럼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한국의 밤은 특히 알이 크고 질이 좋아 ‘한국밤’이라 불린다. 충청남도 공주와 부여, 전라도 순.
  6. 서천지속협, 천연기념물·멸종위기종 포스터 139종 제작·배포 서천군지속가능발전협의회(대표 신상애) 기후생태환경분과위원회는 서천군 관내에서 서식하는 천연기념물·멸종위기종 43종과 산새 96종을 정리한 포스터를 제작해 관내 초·중·고 32개교와 교육청, 유관기관에 배포했다.이번 포스터는 ‘우리가 지켜야 할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43종’과 ‘늘 우리 곁에 함께하는 산새 96종’ 두 가지로, 기.
  7. 강원도 고상 대진항 강원 고성의 대진항은 바다와 산이 맞닿은 풍경이 매력적인 포구다. 석양이 물든 수평선 너머로 고기잡이 배들이 천천히 돌아오면, 부두는 금세 활기를 띤다. 항구 앞에는 방금 잡아 올린 생선을 싱싱하게 진열한 수산시장이 자리해 여행객의 발길을 붙든다. 단순히 어획물이 오가는 곳을 넘어, 바닷내음과 사람 냄새가 함께 뒤섞인 살아있..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