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경계선지능인의 사회 적응과 경제활동 증진을 위한 '경계선지능인 청년 자립 응원 사업' 교육 프로그램을 오늘(2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 이 사업은 시와 청년재단, (재)부산광역시사회서비스원(이하 부산사회서비스원)이 협업해 추진하며, 경계선지능인 청년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 이번 교육은 오늘(2일)부터 7월까지 2개월간 총 20회에 걸쳐 진행되며, 경계선지능청년(18~39세) 20명을 대상으로 소양교육, 직무훈련, 진로 상담, 직업탐색 등 자립 교육을 제공한다.
○ 교육 프로그램은 ▲의사표현 및 직장생활 소양교육 ▲문제해결과 직업탐색 등 사회적응 교육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으로 구성된다.
○ 특히, 교육 참여 우수자에게는 약 2개월간 실제로 일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 현장 적응력과 직업 능력 향상을 도울 예정이다.
□ '경계선지능인 청년 자립 응원사업'은 이번 1차 교육을 시작으로 3차에 걸쳐 100명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지원자는 부산사회서비스원 누리집(busan.pass.or.kr>참여마당>지원사업 신청)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부산사회서비스원 경계선지능인 담당자(☎ 051-861-8874)에게 문의하면 된다.
○ 현재 7월에 시행할 2차 사업 대상자를 6월 30일까지 모집하고 있다.
□ 한편, 경계선지능인은 통상 지능지수가 71~84인 사람을 말하며, 지적장애인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평균 지능에 도달하지 못해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 일반적인 취업 지원 시스템에서 제외되거나 지원이 부족해 자립적인 경제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고립과 은둔의 가능성이 높아 사회적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자립 교육과 일 경험 지원으로 경계선지능인 청년들이 사회의 소중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는 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이들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위해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