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의 가장 중요한 행사는 정상 간 대화 협의체인 G7 정상회의다. 정상회의에서는 세계 경제뿐 아니라 국제정치, 기후변화 등 광범위한 주제가 논의된다. 그해 의장국은 관심 의제에 따라 재량으로 정상회의 등에 초청할 대상국을 선정할 수 있다. 한국은 미국이 의장국이던 2020년 처음으로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았다.
최근 몇 년간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은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의지 재확인,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규탄, 중국 위협에 대한 공동전선 구축 등에 한목소리를 내왔다. 자유주의 진영이 대중·대러 견제로 뭉치자는 것이다.
이번 G7 정상회의를 한 달 앞두고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담에서는 중국산 저가 제품이 초래한 공급 과잉 문제가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공동성명에서 중국을 겨냥한 '비시장 정책과 관행'을 언급했다.
이번에도 이 같은 논의가 주가 된다면 이 대통령이 여러 정상과의 양자·다자 회담에서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이 이뤄질지가 관건이다.
한미 간 현안은 관세협상,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 방위비 분담 및 국방비 증액 등이다. 다만 다자회의를 계기로 한 회담이라는 점에서, 광범위한 현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첫 회담을 할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일 정상회담이 실현된다면 오는 22일 한일 수교 60주년을 앞두고 한일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
이 대통령이 한미일 3국 협력 중시 기조를 밝힌 만큼,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이 열릴지도 관전 요소다.
한미 정상회담이나 한미일 정상회담에서도 대만 문제 등 강경한 대중국 견제 메시지를 내달라는 요구가 나올 수 있다. 미국은 대중국 견제에 외교 역량을 총동원하면서, 미중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국가에 확실한 입장을 요구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한미동맹 토대에서 한미일 협력을 견고히 하면서도 한중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미국이 동맹국의 대중 견제 기여도를 따지겠다는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각에서는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 대통령이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할지 주시하고 있다. 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캐나다가 미국 인접국이라는 점에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제대로 준비하고 있다고 답을 드리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