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반발은 거셌다.
특히 미국이 평화적 핵시설을 공습했다고 비난했다.
터무니없는 공격이었고, 영원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보복을 천명했다.
그러면서 군사적 대응으로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 40기를 발사하며 응수했다.
이란은 의회 차원에서 호르무즈 해협 봉쇄도 의결했다.
최종 결정권은 최고 국가안보회의에 있다고 밝혔다.
호르무즈 해협은 걸프 산유국들과 이란, 이라크의 주요 원유 수송로다.
세계 원유 소비량의 약 25%, 액화천연가스 소비량의 약 20%가 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전면 봉쇄한 적은 없었는데 실행에 옮긴다면 국제 유가 급등이 우려된다.
수도 테헤란 등에서 이틀째 이어진 반미 반이스라엘 시위도 미국의 공습으로 더 격렬해졌다.
이란은 아직 미국을 겨냥한 공격에 나서지 않고 있지만, 이슬람 혁명 수비대가 중동 내 미군 기지를 거론하며 보복을 예고했다.
한편 이란 내 탄도 미사일 발사대를 집중 타격해 온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발사대 절반 이상을 타격했다며 목표 달성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공유할 순 없지만 이란의 농축 우라늄에 흥미로운 정보가 있다고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