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62만여 명, 민간인 249만 명.
6·25전쟁은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비극의 연속이었다.
방탄조끼 틈새로 파고든 총알, 올해 아흔일곱의 이병문 씨도 그날, 그 전장에서 생과 사의 갈림길에 섰다.
이 씨를 살린 건 다름 아닌 헬기.
전투와 화물용으로 쓰던 헬기가 처음 의료용으로 투입됐다.
세계 최초로 전쟁에서 도입된 의료 헬기는 반년 만에 부상병 2천여 명을 후송했다.
야전병원, 즉 이동식 외과병원은 또 다른 구세주였다.
부상병 치료를 위해 최전선에서 3킬로미터 안에 세워졌고.
혈관외과, 인공신장 등 당시 첨단 의료 기술이 총동원돼 꺼져가는 생명을 살려냈다.
목숨 건 전쟁의 최전선, 이동식 외과병원의 국내 의료진들은 이후 국내 의술 발전의 근간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