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불법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계엄 당일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도 통화한 사실을 파악해 들여다보고 있다. 두 사람 사이 통화 사실이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박지영 특검보는 11일 브리핑에서 계엄 선포 당일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의 통화 사실에 관해 묻는 질문에 “당시 (통화가) 있었던 것이 확인된 것은 맞다”고 답했다. 이어 “다른 의원들과 (한 전 총리와 통화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현재 확인해드리기 어렵다”며 “한창 수사가 진행 중이라 말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했다.앞서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특검의 참고인 조사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12월3일 밤 11시12분에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7분 이상 통화했던 게 나왔다”며 “한 전 총리가 당시 국무위원이 반대했다고, 모두 반대했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강행했다는 이야기를 추 전 원내대표한테 이야기했던 것으로 나와있다”고 밝혔다.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약 1시간 뒤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은 알려졌지만, 한 전 총리와 연락한 정황이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은 당시 추 전 원내대표 등이 윤 전 대통령 지시를 받고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의 표결을 의도적으로 방해한 게 아닌지 등 국회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이다.조 의원은 이날 “국회의장은 본회의장으로 모이라고 하는데 (추 전 원내대표 측이) 본회의장이 아닌 당사로 모이라는 텔레그램 문자를 집중적으로 보냈다”며 “그런 행위를 하도록 유도한 의원들, 그리고 추 전 원내대표는 텔레그램 아무런 말을 하지 않고 침묵하고 있었던 점 등이 중점 수사 대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도 말했다.박 특검보는 국회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 수사에 대해 “진상을 밝히는 데 있어 당시 국회 상황을 알 수 있는 분들은 모두 조사 대상”이라며 “현재는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특검은 이날 오후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