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대통령실은 “시종일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신뢰와 호감을 쌓는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양 정상은 모두발언과 약식 기자회견, 확대 정상회담, 오찬 회담을 이어가며 교역·관세 문제와 미국 조선업 협력, 북핵·중러 관계 등 현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오는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 트럼프 대통령을 초청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매우 슬기로운 제안”이라며 긍정적으로 화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향해 “당신은 전사다”, “위대한 지도자다”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회담장에서는 사인을 해주고 기념품을 나눠주는 퍼포먼스까지 연출하며 친근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회담의 겉모습과 달리 속내를 두고는 의문이 제기된다. 외교 관례상 첫 정상회담에서 발표되는 공동선언문이 이번에는 채택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방위비 분담 확대, 중국 견제, 대규모 투자 명문화가 빠진 것은 부담을 피한 대신 구체적 성과도 남기지 못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미군기지 소유권 발언과 농축산물 시장 개방 요구, 국방비 증액 압박은 여전히 잠재적 갈등 요인이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피스메이커·페이스메이커’ 구도 역시 긍정적 메시지임과 동시에 한국의 한반도 주도권이 줄어든 현실을 반영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겉으로는 “대단한 진전, 대단한 협상”이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로 회담이 마무리됐지만, 화려한 외피 속 실질적 성과와 향후 과제는 여전히 물음표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