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시는 28일 오전 10시 서울 소재 환경·조경 전문 출판사 환경과조경 사옥에서 학계·실무 전문가 8명이 참여하는 자문회의를 열고 지정 기준과 활성화 전략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한국조경학회 국가도시공원특별위원회 위원장 안승홍 한경대 교수, 조경진·정욱주 서울대 교수, 최혜영 성균관대 교수, 김영민 서울시립대 교수, 민병욱 경희대 교수, 이호영 HLD 대표, 이진형 서안조경 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논의는 최근 「공원녹지법」 개정으로 국가도시공원 지정 문턱이 낮아진 상황에서 진행됐다. 지정 면적이 300만㎡ 이상에서 100만㎡ 이상으로 완화되고, 지정 절차 역시 국무회의 심의에서 중앙도시공원위원회 심의로 간소화되면서, 2026년 하반기 법 시행 시 전국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는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전국적 공감대 확산에 나설 방침이다. 낙동강 하구는 ▲국내 철새도래지 종 다양성 1위 ▲국내 유일한 만입 삼각주 ▲480종의 식물 서식 등 보전 가치가 높아 ‘4대강 재자연화 및 생물다양성 회복’ 국정과제와도 맞닿아 있다.
시는 지난해 9월 범시민 추진본부를 출범하고, 기본구상 과정에서 심포지엄, 토론회, 워크숍, 민관 회의 등 15차례 시민 논의를 이어왔다. 앞으로도 구상 자문, 지정 세부 기준, 활성화 전략 논의를 통해 국가도시공원 지정 준비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은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은 자연 보전과 공원 이용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모델이 될 것”이라며 “수도권 학계와 협력을 넓혀 국내 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에서 선도적 입지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