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역대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는 강원도 강릉시에서 직접 대책회의를 주재하는 영상이 공개된 뒤 김홍규 강릉시장이 제대로 된 답변을 내놓지 못하는 모습에 많은 시민들이 비판을 쏟아냈다. 이에 김 시장은 “대통령이 왔으니 한번 떼 써본 것”이란 황당한 해명을 내놓아 파장이 예상된다.
김 시장은 1일 오전 강릉 시청에서 열린 가뭄 대응 비상대책 2차 기자회견에서 “원수 확보 비용 관련 대통령과 문답에서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었다”는 취재진 질문에 “(대통령의)질문 요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일부 혼선이 있었다”며 “이는 저의 불찰”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그는 “시가 현재 추진 중인 연곡천 확장 사업은 원수대(원수 확보·공급 비용) 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수장 설치에 대한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오해”라는 취지로 말했다. 용어 사용 과정에서 오해가 생겼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도 500억원을 계속 언급한 것에 대해 “해당 사업은 본래 국가에서 지원해 주는 사업에 빠져있다. 그래서 마침 대통령이 오셨기 때문에 지방비로 해야 될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한번 떼를 좀 써보려고 말씀드린 것”이라고 덧붙여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김 시장은 앞서 지난 30일 오후 이 대통령이 주재한 가뭄 대책회의에서, 대통령의 ‘원수 확보 비용’ 질문에 제대로 답변·설명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물 공급을 위한 원수 확보 비용을 거듭 물었지만 김 시장은 얼마의 예산이 필요한지,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 등을 확실하게 답하지 못했다.
이 대통령은 “추가로 1000억원이 더 든다고 얘기했는데, 소요 내용이 무엇이냐”며 “이 1000억원은 기존 예산을 합친 금액을 말하는 것이냐”고 물었다.
김 시장이 확답을 하지 못하자 이 대통령은 “기존 계획이라는 게 있고, 계획에 필요한 비용은 이미 다 책정되어 있을 텐데, 뭔가를 추가할 테니 정부가 새롭게 지원해달라고 말하는 것 아니냐. 추가로 드는 게 얼마냐”고 재차 물었다. 김 시장은 “500억원 정도”라고 답했고, 이 대통령은 “아까 1000억원이라고 그러더니 지금 500억원으로 줄었는데, 다행히”라며 실소를 보였다.
이 대통령은 또 500억원은 정수장에 드는 비용이라는 김 시장에게 “정수장만 확장하면 되는 거냐. 원수는 이미 확보되어 있다는 거냐”며 “그건 또 아니지 않나”라며 답답한 듯 말했다. 이어 “기존 계획이 있다면, 원수를 정수하는 예산도 당연히 있을 것 같아서 하는 이야기다. 논리적으로 그렇지 않나”라고 했다.
결국 김진태 강원지사까지 나서 “현재 하고 있는 건 1만 5000t짜리 정수장인데, 그걸로는 부족하니까 5만t을 맞추려고 한다는 것 아닌가. 대통령님이 물어보는 건 더 필요한 3만 5000t에 대한 500억원의 예산에 원수 확보와 정수장 확장까지 다 들어간 것이냐”라고 설명했다.
5분 넘는 대화에도 이 대통령은 원하는 답을 듣지 못했고, 이 대통령은 “여기 있는 사람들 지금 다 못 알아듣고 있다”며 “나중에 무슨 말인지 확인해보시죠”라고 했다.
이날 김 시장은 “9월에는 비가 올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고 말했다가 이 대통령으로부터 “하늘을 믿으면 안 된다. 사람 목숨을 실험에 맡길 수는 없다”는 질책을 받기도 했다.
해당 회의 장면이 공개되며 김 시장을 향한 날 선 비판이 쏟아졌다. 행정 최전선에 있는 담당자가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다는 비판이 주를 이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