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퍼파로 미 인도태평양 사령관(사진=네이버db 갈무리)
[뉴스21 통신=추현욱 ] 한국을 방문 중인 새뮤얼 퍼파로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이 지난 14일 우리 쪽 외교·안보 부처 장관들을 만나 “주한미군 감축은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정부 관계자는 방한 중인 퍼파로 사령관은 전날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조현 외교부 장관 등을 잇따라 만나 한반도 안보 정세와 한-미 동맹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던 중 “주한미군 감축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퍼파로 사령관에게 주한미군 감축 여부를 묻자 ‘그럴 계획이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전날 국방부와 외교부는 안규백·조현 장관과 퍼파로 사령관 면담 뒤 “한-미 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켜가는 과정에서 인도태평양사령부가 필요한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외교부), “양측은 지난 한-미 정상회담의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한·미 국방·군사당국 간 공조와 소통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기로 했다”(국방부)는 보도자료를 냈다.
주한미군 감축은 현재 한-미 간 진행 중인 ‘동맹 현대화’ 논의와 맞물린 민감한 이슈 가운데 하나다. 앞서 미 합동참모본부 차장으로 지명된 크리스토퍼 머호니 후보자가 지난 11일(현지시각)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제출한 답변서가 공개되면서 논란이 됐다. 머호니 후보자는 ‘주한·주일 미군 전력을 상당히 감축하면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에 어떤 영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가정적인 상황에 대해 추측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우리는 미군의 태세를 지상에 주둔한 병력 숫자가 아니라,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기준으로 본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 역시 지난달 8일 기자간담회에서 “주한미군에 변화가 필요하다. 중요한 건 숫자가 아니라 역량이다”라고 했다. 이 때문에 곧 발표될 미국의 새 국방전략(NDS)에서 현재 2만8500명 수준인 주한미군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