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BS뉴스영상캡쳐
동해 심해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대왕고래’의 첫 탐사시추에 대한 정밀분석 결과, 상업성이 없다는 최종 결론이 내려졌다. 당초 기대와 달리 유의미한 수준의 탄화수소가 발견되지 않은 것이다.
18일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정밀시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스 포화도가 예상치보다 크게 낮게 나타났다. 석유공사와 업계는 시추 전 이 지역의 가스 포화도를 50~70%로 전망했지만, 실제 분석 결과는 약 6%에 불과했다.
시추 과정에서는 저류층, 덮개암 등 석유 시스템의 기본 요소가 비교적 예상과 부합했으나, 심부 근원암에서 생성된 열적 기원 가스가 대왕고래 유망구조에까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정부와 석유공사가 포항 앞바다에 석유·가스가 35억~140억 배럴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에 따라 시작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첫 탐사시추가 진행됐으며, 이후 미국 지질분석업체 코어랩이 1,000여 건의 시료를 정밀분석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탐사계획을 보다 정밀하게 세우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윤석열 정부 시절부터 정치권 내 반대 목소리가 이어져 온 만큼, 이번 결과로 프로젝트 추진 동력은 한층 약화될 전망이다. 송재봉 의원은 “향후 동해 자원 탐사는 신중하고 투명하게 진행돼야 하며, 무분별한 탐사 추진에 대해서는 책임 있는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