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획재정부
정부가 현재 5% 미만에 머물고 있는 제조업 인공지능(AI) 도입률을 2030년까지 40%로 끌어올리기 위해 ‘AI 팩토리’ 확산에 본격 나선다. 지난해 26곳이었던 선도사업 공장은 2030년까지 500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대전 카이스트 ‘AI 팩토리 랩’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에 AI를 결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AI 팩토리 관련 예산을 올해 632억 원에서 1,450억 원으로 늘리고, 참여 기업에 전용 보험상품(최대 10조 원), 펀드(450억 원), 대출(2,000억 원) 등을 지원한다. 국민성장펀드(150조 원)를 활용해 대규모 설비투자도 돕는다.
스마트공장 예산 역시 올해 2,361억 원에서 내년 4,366억 원으로 85% 확대된다. 이 가운데 AI 팩토리 구축(810억 원), 로봇 도입(247억 원), AI 제품·솔루션 신속 개발(990억 원)에 투입된다. 스마트공장에 투자하는 중소기업에는 2028년까지 가속상각(투자 초기 비용 조기 회수) 혜택도 제공한다.
정부는 전북 전주(상용차), 경남 창원(기계제조) 등 산업 거점을 AI 혁신거점으로 지정해 특화 모델과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을 지원하고, 초정밀 거대행동모델(LAM) 개발에도 내년 4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연구자들은 AI 연구 환경 개선을 요청했으며, 정부는 AI·AX 대학원 확대와 생성형 AI 연구 지원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