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한다고 밝혔다. [사진=MBC뉴스영상캡쳐]
영국과 캐나다를 비롯한 G7 주요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면서 국제사회의 압박이 한층 거세지고 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작전이 유엔 조사에서 ‘제노사이드’로 규정된 가운데, 서방 선진국이 잇따라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통해 군사행동 중단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G7은 공동 입장에서 “두 국가 해법만이 지속 가능한 평화의 길”이라며 이스라엘에 즉각적인 공세 중단을 요구했다. 이스라엘은 곧바로 반발하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곧 하마스를 국가화하는 것”이라 주장하고, “테러 국가 승인 시도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G7 회원국인 일본은 이번 흐름에 합류하지 않았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은 시기의 문제일 뿐, 두 국가 해법 자체는 지지한다”며 “국제 정세를 주시하며 종합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미국이 일본에 비공식적으로 승인 보류를 요청했다”며, 일본 정부가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당분간 결정을 미루고 있다고 전했다.
이로써 G7 내부에서도 입장차가 드러나고 있다. 영국·캐나다 등은 팔레스타인 독립을 통해 이스라엘을 압박하는 쪽으로 선회했지만, 일본은 동맹국 미국과 보조를 맞추며 ‘유보적 태도’를 고수하고 있는 셈이다.
한국 역시 유엔 무대에서 두 국가 해법에 찬성 입장을 밝혀왔지만, 공식 국가 승인은 신중히 검토한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국제사회 압박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국이 언제, 어떤 시점에 입장을 바꿀지가 향후 관전 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