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가 이스라엘 국방부에 제공해오던 일부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중단했다. 팔레스타인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감시에 자사 기술이 활용됐다는 언론 보도와 내부 반발에 따른 조치다.
브래드 스미스 MS 부회장 겸 사장은 2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언론 보도의 일부를 뒷받침하는 정황을 확인했다”며 “특정 클라우드 저장 및 AI 기술의 사용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스라엘 국방부와 이번 결정을 협의했으며, MS 서비스 약관 준수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영국 가디언은 이스라엘 정보부대 ‘8200부대’가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에서 확보한 대규모 감청 데이터를 MS 애저(Azure) 클라우드에 저장해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로이터와 AP,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외신도 MS의 조치를 보도하며, “글로벌 IT 기업이 인권 문제를 이유로 계약 일부를 차단한 드문 사례”라고 평가했다.
다만 MS는 서비스 중단이 “일부 구독 서비스”에 국한되며, 이스라엘 및 중동 국가들의 사이버 안보 지원은 계속된다고 선을 그었다.
이번 결정은 가자지구 인도적 위기 심화와 맞물려 글로벌 기업들의 이스라엘 거래를 둘러싼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내려졌다. MS 내부에서도 직원들의 항의 시위가 이어졌고, 지난 8월에는 관련 운동에 참여한 직원 4명이 해고되면서 논란이 확대된 바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이번 결정을 두고 “기업 윤리와 기술 책임의 시험대”라는 해석이 나온다. FT는 “MS가 약관과 인권 원칙을 근거로 취한 이번 조치가 다른 빅테크 기업들의 선례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