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9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전쟁 종식을 위한 새로운 평화 구상을 내놓았다. (사진=백악관 공식 SNS 캡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9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전쟁 종식을 위한 새로운 평화 구상을 내놓았다. 20개 조항으로 구성된 이번 안에는 전선 동결, 인질 석방, 이스라엘군 단계적 철수, 가자지구 과도 행정위원회 설치,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가능성 등이 담겼다. 그러나 하마스의 무장 해제와 통치권 배제 조건이 핵심에 포함돼 있어 수용 여부는 불투명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오늘은 평화를 위한 역사적인 날”이라며 “하마스도 이 일에 동의하려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네타냐후 총리 역시 “중동 평화를 획기적으로 진전시킬 중대한 단계”라며 지지를 표했다. 이번 구상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가 참여한 가운데 마련됐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평화 위원회’ 의장을 맡아 전환 과정을 감독한다.
평화안은 하마스가 72시간 내 생존 인질 20명과 사망 추정 인질 유해를 석방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하마스는 무기를 폐기해야 하며, 가자지구는 기술관료 중심의 과도 행정위원회가 운영한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는 개혁 조건을 충족한 뒤에야 가자 운영에 복귀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가능성이 열리지만 ‘두 국가 해법’은 명시되지 않았다.
하마스는 인질 교환으로 수감자 250명과 1700명을 돌려받게 되며, 무장을 해제한 구성원은 사면받을 수 있다. 다만 무장 해제와 통치권 포기라는 조건은 기존 입장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카타르·이집트가 하마스에 평화안을 전달했으며, 하마스는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관건은 아랍 국가들의 지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는 ‘두 국가 해법’과 PA의 실질적 역할을 원하고 있으나, 이번 구상은 이스라엘이 철수를 비무장화 진척도와 연계해 지연할 수 있는 조항을 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명확한 로드맵 없이는 사우디가 재정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작다”고 전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가자는 하마스도, PA도 아닌 평화적 민간 행정부가 운영해야 한다”며 자치정부 배제 의지를 거듭 밝혔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된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과 관련해 네타냐후 총리가 카타르 총리에게 직접 사과하면서, 평화안 초안에 포함됐던 ‘사과 요구 조항’은 최종 합의안에서 삭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