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시장 박형준)는 훈민정음 반포 579돌을 맞아 13일 오후 2시 시청 대강당에서 ‘579돌 한글날 경축식’을 열고 한글의 창제 정신과 문화적 가치를 기리는 자리를 마련했다. (사진=MBC영상캡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훈민정음 반포 579돌을 맞아 13일 오후 2시 시청 대강당에서 ‘579돌 한글날 경축식’을 열고 한글의 창제 정신과 문화적 가치를 기리는 자리를 마련했다.
올해 한글날(10월 9일)이 추석 연휴와 겹친 점을 고려해, 부산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25 한글주간(10월 9일~18일)’ 기간 내로 일정을 조정해 이번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경축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주요 기관장, 부산한글학회, 교육계 인사,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경축 영상 상영, 훈민정음 머리글 낭독, 한글 발전 유공자 포상, 박형준 시장의 경축사, 부산시립합창단의 합창 공연, 한글날 노래 제창 및 만세삼창 순으로 약 40분간 진행됐다.
특히 ‘훈민정음 머리글 읽기’ 순서에서는 이근열 부산한글학회장과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의 외국인 장학생 나자프자데 오즈가즈 리다(이란)가 함께 낭독하며 한글의 세계적 위상을 보여줬다.
또한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과 서체 연구, 한글 교육 확산에 기여한 유공자 9명이 표창을 받았다. 부산시장 표창은 인제대학교 김형복 교수, 부산외대 박희선 강사, 한국서체연구회 소속 박영란·정우영 작가에게, 부산시교육감 표창은 김은진(부경보건고), 이정은(낙동초), 강례은(거제여중), 제소양(미남초), 진영인(부곡여중) 교사에게 각각 수여됐다.
박형준 시장은 경축사에서 “부산이 글로벌 허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리 말과 글을 지키고 가꾸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며 “한글의 아름다움을 시민과 세계가 함께 느낄 수 있도록 시 정책 전반에서 순우리말 사용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