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명분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돈바스 지역을 러시아에 넘기라고 압박했다고 밝혔다. (사진=sbs뉴스영상캡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명분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돈바스 지역을 러시아에 넘기라고 압박하며 회의 도중 전선 지도를 집어던졌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7일 백악관에서 열린 회담에서 “푸틴이 원한다면 우크라이나를 파괴할 것”이라며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러시아가 요구한 전쟁 종식 조건을 받아들이라고 강요했다. 회담 내내 거친 욕설과 고성이 오갔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 전선 지도를 가리키며 “이 빨간 선은 뭐냐, 네가 여길 가본 적이나 있냐”고 비아냥댔다고 전해졌다.
이날 회담 하루 전,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를 포함한 돈바스 전역을 전쟁 종식의 대가로 넘길 것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사실상 푸틴의 요구를 그대로 되풀이한 셈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담에서 미국의 장거리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지원을 요청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거부했다. “미국도 그 무기가 필요하다”며 지원 중단을 선언한 것이다.
반면 러시아 언론은 이 같은 회담을 전혀 다르게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이 인용한 러시아 측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키이우뿐 아니라 모스크바에도 안보 보장이 필요하다”며 양국 모두의 안보를 고려한 현실적 협상안을 제시했다고 한다. 트럼프가 제안한 ‘현상 유지형 거래’는 현재 전선을 기준으로 한 평화협정 체결을 뜻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러시아 측은 트럼프를 “냉정한 중재자”로 평가했지만, 서방에서는 “푸틴의 요구를 그대로 대변한 친러 행보”라며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미국 외교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푸틴의 의중을 반영한 협상안을 던진 것은 우크라이나를 압박해 종전 명분을 쌓으려는 계산”이라며 “미국 외교의 신뢰가 무너지는 위험한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푸틴 대통령과 다시 회담을 가질 예정이며, 이번 ‘돈바스 발언’이 실제 종전 협상 카드로 등장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