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최근 캄보디아에서 외국인을 노린 취업 사기와 감금, 강제노동 사건이 잇따르면서 여러 나라가 자국민에게 캄보디아 여행을 자제하거나 중단할 것을 경고하고 있다.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까지 ‘캄보디아 여행 주의보’ 또는 ‘도항 중지 권고’를 발령했다. 각국 정부는 공통적으로 “고수익 단기 아르바이트나 해외 번역 일자리”를 미끼로 한 취업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고 경고한다.
영국 외교부(FCDO)는 캄보디아와 태국의 접경지 50km 이내 지역에 대해 “필수 목적이 아니면 방문을 피하라”고 권고했다. 캐나다 정부 역시 “20km 이내 지역은 모든 여행을 자제해야 한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호주 외교부(Smartraveller)는 “취업을 빌미로 한 감금·불법 행위 사례가 늘고 있다”고 명시했다.
일본 외무성은 수년 전부터 캄보디아 취업 사기를 주의하라는 안내를 이어오고 있다. “캄보디아에 도착하자마자 여권과 연락수단을 빼앗기고, 전화 사기 등의 불법 행위에 강제로 참여시키는 사례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 정부는 지난 10월 일부 지역에 대해 ‘여행금지(코드 블랙)’ 조치를 내렸다.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이 잇따르고, 온라인 범죄 조직의 근거지가 포이펫·시하누크빌 등지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뉴질랜드와 대만, 싱가포르 등도 유사한 수준의 주의보를 발표했다. 뉴질랜드 SafeTravel은 “지뢰·치안 악화·사기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고 경고했고, 대만 경찰청은 “캄보디아·미얀마 취업사기”를 주의할 것을 국민에게 재차 알렸다.
주요 위험 요인은 ▲취업 미끼 사기 ▲강제노동 및 감금 ▲국경 지역 무력 충돌 ▲외국인 대상 범죄 증가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태국 접경 지역에서는 지뢰와 군사 충돌이 여전히 잔존 위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캄보디아 내 다국적 사기 조직이 중국계 콤파운드 형태로 자리 잡으며, 외국인을 유인해 불법 행위에 동원하는 구조가 굳어지고 있다”며 “피해를 막기 위해선 정부 간 공조와 국제 수사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여행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행동수칙을 당부했다.
• 해외 구인 제안 시 회사 신뢰도와 비자 절차를 반드시 확인할 것
• 숙소·비자·항공권 일괄 제공을 내세우는 채용 광고는 주의할 것
• 여권 보관·휴대폰 제출을 요구하는 곳은 즉시 거절할 것
• 현지 도착 후에는 가족·지인에게 숙소·일정 정보를 수시로 공유할 것
최근 외신들은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가 ‘신흥 국제 사기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국제사회의 경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여행 전 반드시 최신 여행경보를 확인하는 신중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