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은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체제를 결정하기로 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14일 국회에서 끝장토론 형식의 의원총회를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는 11월 30일 이전에 전대를를 개최해서 새 지도부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오늘 의원 19명과 최고위원 전원이 참석해 새 지도부 구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며 "의원총회 중 최고위원회의를 다시 열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새 지도부가 선출되기 전까지는 주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주 원내대표는 "지도부(당대표) 궐위가 생기면 한달 이내에 전대를 열도록 당헌당규에 규정 돼 있지만 정기국회와 국정감사를 소홀히 할 수 없기 때문에 한달 내 (전대를) 할 수 없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봤다"며 "국감 등의 사유가 해결된 이후 가장 빠른 시간을 잡아, 11월30일까지는 전당대회로 새 지도부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일 이혜훈 전 대표가 금품수수 의혹에 휩싸여 당 대표 자리에서 물러난 뒤 바른정당 내에서는 새 지도체제를 놓고 의견 충돌이 이어져왔다.
바른정당 스스로가 힘을 기르는 것이 우선이라는 '자강론'과 자유한국당의 인적 쇄신 등을 조건으로 보수가 다시 뭉쳐야 한다는 '통합론'이 팽팽하게 맞섰다.
자강파의 경우 유승민 의원을 필두로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무성 의원을 중심으로 한 통합파는 주 원내대표가 전당대회 전까지 대표대행 체제로 당을 이끌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지난 10일 주말 긴급 최고위회의와 의원 회식을 거치고도 양측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자 바른정당은 이날 끝장토론을 통해 결론 도출을 시도했다. 그 결과 비대위 출범도 권한대행 체제도 아닌 조기 전대라는 절충안을 마련했다.
주 원내대표는 "오늘 회의에서 자강론과 통합론에 대한 의견 개진은 있었지만 이런 건 전대 과정을 통해 수렴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유승민 비대위가 결정되면 탈당하겠다는 의원이 있었다는 얘기도 있는데 전혀 그런 건 없었다. 오늘 이 결정은 만장일치로 된 거나 진배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당대회 과정에서 또다시 계파 간 세 대결이 벌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