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이주열 "물가상승률 낮아도 금리인상 검토할 수 있어" -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금융시장 변동성 높일 가능성 있어" 최문재
  • 기사등록 2017-10-02 11:27:38
기사수정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 수준이 목표 보다 낮아도 정책금리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9일 인천광역시 한은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기자단 워크숍에서 물가가 낮아도 금리를 올리겠냐는 질문에 "지금 물가 수준에만 국한하지 않고 중기적 흐름을 보고 경기회복세가 지속된다면 완화정도 조정은 검토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우리는 신축적 물가안정 목표제를 채택하고 있다"며 "이는 현재 물가상승률이 낮아도 중기적 시계에서 목표 범위에 든다면 경기라든가 금융안정에 포커스를 두고 통화정책을 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두세달전 메시지와 달라졌다고 생각하면 안된다"고 당부하며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 인용에 따르면 옐런 의장은 정책금리를 인상해 나가지 않으면 언젠가는 인플레이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레버리지가 확대되면서 금융안정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인플레이션이 2%에 도달할 때까지 현재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이 총재는 "북한 리스크가 더 고조되면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아지고 경제주체 심리도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럴 경우 실물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함께 주요국 통화정책 움직임이 여전히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영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동시에 이뤄지면 지정학적 리스크와 함께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을 더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열흘 동안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데 마음은 그렇게 가볍지 못하다"며 "무엇보다 한반도 정세가 불확실하게 돌아가고 있어서 마음 편히 쉬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휴 기간 해외 사무소 중심으로 매일 국제금융시장 동향과 외국 투자자 시각 등을 점검하고 간부들도 교대로 출근해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5257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강남구, 저소득층 인공관절·관절경 수술 및 입원치료 지원 협약체결
  •  기사 이미지 화순 운주사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 학술대회 개최
  •  기사 이미지 좀끈끈이주걱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