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통신/서울서부취재본부)= 서울시가 본격적인 고령화 시대를 맞아 65세 이상 어르신의 무임교통카드 이용 빅데이터를 처음으로 분석했다. 대중교통 이용 어르신은하루 평균 83만 명에 달했고, 이중 80%가 시내버스보다는 무임이 적용되는 지하철에 집중됐다.
이번 분석은총 570만 건에 이르는 교통카드 거래내역 빅데이터를기반으로 어르신이용규모뿐 아니라 성별, 연령대별, 시간대별 이용추이를 복합적으로 고려해 살펴본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교통복지 제도인 65세 이상 어르신 도시철도 법정 무임승차는 정부 정책(노인복지법(제26조))에 따라 올해로 34년째 시행 중이다.
서울 어르신들이 지하철을 타고 즐겨 찾은 단골동네는어디일까? 할아버지들은 탑골공원 등이 있는 ‘종로3가’를 압도적으로 많이방문한 반면, 할머니들은 청량리, 제기동, 남대문시장(회현역) 등 재래시장이나 병원이 많은 지역을 고루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대중교통 이용횟수는 2.4회로 나타난 가운데, 어르신 지하철택배업무를 하느라 하루에 10번 넘게 지하철을 이용한 어르신들도 있었다. 하루에가장 많이 이용한 어르신은 총 31회, 총 거리 163km를 이동한 것으로나타났다.
대중교통 이용하는 어르신들의 평균 외출시간은 4시간 45분으로, 한번 탈 때마다 평균 지하철로는 11km, 버스로는 2.9km를 이동했다.
일반시민의 40%가 출‧퇴근시간대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반해 어르신들은 낮 시간대에 이용이 집중된 것도 눈에 띈다. 연령별로는 71세까지는 여성 이용객이 더 많고 72세부터는 남성 이용객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내버스의 경우 종로, 청량리, 도심 등을 경유하는 720번과 150번을, 마을버스는 어르신이 많이 사는 동네와 주요 지하철 역사를 잇는 금천01번, 관악08번 노선을 가장 많이 탑승했다.
서울시는 이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르신들의 대중교통 이용패턴을 반영해 적재적소에 맞춤형 시설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어르신 단골 지하철 역사에는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확충하고 인기 버스노선을 중심으로 탑승이 편리한 저상버스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어르신 이용객이 가장 많이 승차‧하차한 지하철역은 모두 ‘종로3가역’이었다. 서울 전역에서 이른 아침부터 모이기 시작해 12시~16시에 절정을 이뤘다.
성별로 보면 남성승객 최다 하차역은 ‘종로3가역’이 2위(청량리역)와 큰 격차로 1위를 차지했다. 반면에, 여성승객 최다 하차역 TOP10 안에는 ‘종로3가역’이 없는 것이 눈에 띈다. 여성승객은 청량리>제기동>고속터미널 순으로 재래시장, 병원, 약국 등이 많은 곳을 비슷한 수치로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선지를 자치구별로 비교하면 대부분 남녀 이용비율이 비슷하나, 종로구에 한해 남성의 방문비율이 여성보다 월등히 높았다(남성 9.3%, 여성5.4%). 또한 종로구의 경우 할머니는 연령대와 관계없이 비슷한 비율로이용한 데반해, 할아버지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방문비율이 높았다(60대 6.6% → 80대 12.8%).
버스노선별 이용추이를 보면 어르신 인구가 많은 은평에서 출발해 종로, 제기동, 청량리 등 어르신 단골동네를 경유하는 ‘720번’과 강북, 도심, 용산을 경유하는 ‘152번’ 이용객이 가장 많았다. 마을버스 이용객이 가장 많은 ‘금천01번’과 ‘관악08번’은 모두 어르신이 많이 사는 동네와 주요 지하철 역사를 이어주는 노선이다.
어르신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720번 노선 이용현황을 상세 분석한 결과, 재래시장과 약국 인근 정류소의 경우 할머니 이용비율이 할아버지 보다 30~100%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할아버지들의 이용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 곳은 종묘, 탑골공원, 동묘 등 종로 인근 정류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