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역사박물관, "70년대 한강피서, 수영장, 목욕탕 물놀이로 첨벙~!"
  • 박신태 본부장
  • 등록 2018-08-02 02:07:27

기사수정
  • 2018 대학생 예비큐레이터 기획전 <서울이 물에 빠져든 날> 무료전시 8.31까지
  • 근대 이전 물놀이인 ‘멱감기’부터 수영장, 목욕탕 등장까지 물놀이 변천사 소개
  • 대학생 예비큐레이터 기획전시…시나리오 작성부터 작품 설치까지 전 과정 학생 주도

(뉴스21통신/서울서부취재본부)= 에어컨이나 선풍기가 없던 과거엔 더운 여름을 어떻게 났을까? 그때 그 시절에도 첨벙 첨벙 물장구치며 더위를 내쫓는 물놀이가 인기였다.

 

 근대 이전엔 물에 몸을 담그는 것으로 더위를 식혀왔던 멱감기가 남녀노소 불문하고 최고의 피서법이었다. 수영과 목욕의 구분이 없었다. 사람들은 냇가나 한강에서 몸을 씻으며 더위를 이겨냈다.

 

▲ (사진: 서울시 제공)

 개항 이후부턴 근대화의 영향을 받아 수영과 목욕이 구분됐다. 일제는 신체를 단련한다는 이유로 수영장을 만들고 건강을 앞세워 공중목욕탕을 만들었다. 백사장이 있어 물놀이 공간으로 인기였던 한강 부근엔 최초의 수영장인 서빙고 수영장이 생겨났다. 이후 들어선 뚝섬, 잠실, 마포 한강공원의 수영장은 지금까지도 서울의 대표적인 멱감기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목욕탕도 점차 일상에 스며들었다. 1980년대 대중탕 허가 기준이 완화되면서 서울의 목욕탕 수는 급증했다. 이후 헬스 사우나, 스포츠센터 등 다목적 목욕탕이 생기고 찜질방이 등장하면서 목욕도 하나의 여가 공간으로 변화돼 왔다.

 

▲ (사진: 서울시 제공)


▲ (사진: 서울시 제공)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송인호)은 이처럼 근대 이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물놀이의 변천사를 소개한 ‘<</span>서울이 물에 빠져든 날> 로비전시8월까지 무료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전시는 대학생 예비큐레이터 기획전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이 큐레이터 분야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학생 예비큐레이터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기획안을 전시한 것이다. 학생들은 기획부터 시나리오 작성, 전시물 선정, 디자인, 작품 설치까지 전 과정에 직접 참여했다.

 

▲ (사진: 서울시 제공)


▲ (사진: 서울시 제공)


 대학생 예비큐레이터프로그램은 큐레이터를 지망하는 대학생들이 현직 큐레이터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으며 직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서울역사박물관이 마련한 자리다. 2()부터 12()까지 진행됐다.

 

 학생들은 전시기획, 교육, 소장품 관리와 보존 등 박물관 현장에서 직접 업무를 담당하는 큐레이터들의 강의를 비롯해 수장고·보존과학실 등 일반인들이 출입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현장 실무를 체험했다. 교육과정 중 서울을 큐레이팅하라!-서울의 여름나기를 주제로 전시기획을 실습하고 그 중 치열한 경쟁 속에 선정된 팀(오지윤, 이하림, 조은영, 최예림, 허서인)의 기획안을 전시하게 됐다.


▲ (사진: 서울시 제공)


▲ (사진: 서울시 제공)


 대학생 예비큐레이터들은 멱감기에서 이어져 온 수영과 목욕을 현대 여가 문화와 엮어 참신하게 기획했다. 근대 이후 변화한 멱감기 문화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일제강점기 수영복부터 1950년대 수영모, 튜브 등을 전시했다. 1970년대 목욕탕 공간도 재현해 관람객들이 과거 목욕탕을 직접 체험해보고 추억을 되살릴 수 있도록 했다.

 

▲ (사진: 서울시 제공)


▲ (사진: 서울시 제공)

 관람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 ··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다.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www.museum.seoul.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724-0274)

 

▲ (사진: 서울시 제공)

 김지연 서울역사박물관 교육대외협력과장은 대학생 예비큐레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그동안 막연하게만 느꼈던 큐레이터라는 직업을 현장 실무를 통해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을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이번 로비전시는 교육부터 3주간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전시를 기획해 의미가 더욱 크다. 전시를 통해 서울역사박물관이 진로를 고민하고 있는 청년층에 실질적인 진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해 평생학습장으로서의 박물관 역할을 다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의왕시 사근행궁, 의로운 왕의 도시가 잊지 말아야 할 자리 [뉴스21 통신=홍판곤 ]정조는 '의로운 왕(義王)'이었다. 그는 백성을 사랑했고, 아버지를 그리워했으며, 무너진 나라의 기강을 세우려 했다. 사근행궁에 들렀을 때마다 마음속에 품었던 건 단 하나였다."아버지를 배알하고, 백성을 돌보는 그 길이 곧 임금의 도리다."그 길 위에 오늘의 의왕(義王)이 있다. 그러나 지금, 그 이름의 ...
  2. 단양 강풍 속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 추락…탑승자 1명 중상 지난 22일 오후 3시 34분께 충북 단양군 단양읍 노동리 양방산 전망대 인근에서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이던 50대 남성 2명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단양소방서에 따르면, 사고 당시 조종사 A 씨와 동승 고객 B 씨는 이륙 직후 강풍에 중심을 잃고 인근 야산으로 추락했다. 현장에 있던 패러글라이딩 업체 직원이 즉시 119에 신고했으며, 소방..
  3. 제천시, 초고압 송전선로 ‘1년 전부터 인지’하고도 침묵… 충북 제천시가 초고압 송전선로(345kV 신 평창–신 원주) 건설사업이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을 지난해 11월부터 알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하지만 시는 이 사실을 시민에게 단 한 차례도 공식적으로 알리지 않아 ‘행정의 무책임’과 ‘정보 은폐’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한국전력공사는 지난해 11월 제천시를 포함한 해당 구...
  4. '리얼시그널' 웹사이트...부동산, 예금, 주식, 가상자산 보유 현황 확인 (사진=네이버db)[뉴스21 통신=추현욱 ]고위 공직자들의 실제 부동산 보유 현황을 보여주는 웹사이트가 등장해 눈길을 끈다.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서비스 '리얼시그널'이 그것이다.리얼시그널에는 대통령, 국회의원, 장·차관, 고위 법관 및 검사, 군 장성 등 약 7000명의 자산 내역이 담겨 있..
  5. 매크로로 프로야구 티켓 10만장 싹쓸이한 40대 검거 프로야구 티켓을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10만 장 넘게 예매해 되팔아 거액의 수익을 챙긴 4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유포한 20대 2명도 함께 검거됐다.대전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암표 판매 혐의로 A씨(42)를, 매크로 프로그램을 제작해 유포한 20대 2명을 정보통신망법 및 국민체육진흥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했다...
  6. 김꽃임 도의원 “제천은 전력 수혜지 아닌 희생양… 송전선로 노선 전면 재검토하라” 충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장 김꽃임 의원(제천1·국민의힘)이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345kV 신 평창~신 원주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제천 경유 노선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김 의원은 21일 열린 제429회 충북도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이번 사업은 강릉발전소 전력을 강원 영서와 용...
  7. 태백 라마다 호텔 충격 증언 "1,910명 등기는 껍데기, '무제한 멤버십' 판매가 본질" 태백 라마다 호텔 사태가 1,910명의 '지분 쪼개기' 등기 분양 문제로 알려진 것과 달리, 실제로는 '무제한 멤버십 회원권' 판매를 통한 변칙적 수익 창출이 더 심각한 문제의 본질이라는 내부 관계자의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과거 태백 라마다 호텔의 내부 관계자 A씨는 "기사화된 1,910명의 등기 문제는 전체 사기 규모의 100분..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