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가족부(장관 김희정)는 전국 시·도별 18개 폭력예방교육 지역지원기관을 통해 4월부터 12월까지 민간사업장 종사자 등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을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는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 부문에서 폭력예방교육이 의무적으로 실시되는 것과 연계하여 2013년부터 교육 접근성이 떨어지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전국 방방곡곡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일반 국민 119,319명 대상으로 총 2,604회에 거쳐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을 추진한 결과, 교육 참여자의 상당수가 ‘폭력예방에 대한 인식변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는 등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을 받은 일반 시민이 ‘나’의 행복을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에 ‘관심’을 갖고 지역의 안전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지역·직업별 특성에 맞는 ‘안전파수꾼’ 수칙을 정하고 실제 활동 사례를 적극 발굴, 확산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전국 17개 시·도가 자체 운영해 온 안전프로그램 및 행사 등과 연계하고 지역 협의체*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지속가능한 교육’ 기반을 이뤄가는 데도 박차를 가한다.
또한, 민간 사업장의 사용자에 대해서도 ‘직장 내 성폭력예방을 위한 노력 의무’가 명문화되어 교육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찾아가는 성폭력예방교육’을 3,000회까지 확대한다.
교육지원기관은‘전국 방방곡곡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을 널리 알리고, 교육 신청이 접수되면 대상, 지역 등을 고려 해당 분야의 전문강사를 연계한다. 또한, 신청단체가 교육 장소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지역의 공공기관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김희정 여성가족부장관은 “폭력 없는 안전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폭력의 현주소를 바로 알고, 다같이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며서 “폭력예방교육은 ‘일상 속 폭력’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아울러 주변 위기 상황에 방관하지 않고 적극 개입하여 지원하는 ‘지역 안전 파수꾼’의 결의를 다지는 계기가 될 수 있는 만큼, 많은 국민이 ‘찾아가는 교육’에 적극 참여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