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베일에 가려진 한국 최초 게릴라 특수부대 이샤론
  • 기사등록 2019-04-12 15:02:09
기사수정


▲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은 없음)


인천상륙작전이 한국 전쟁의 판세를 완전히 바꿔놓았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내용도 있습니다. 작전의 실행에 앞서 몇 가지 난제들을 검토했고 가장 큰 난제 중의 하나는 261척에 이르는 군함들을 일시에 뭍으로 보내기 위해 필요한 등대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조수간만의 차가 엄청나게 심한 인천 앞바다에서 야음을 틈타 대규모 상륙작전을 펼치기 위한 시간은 너무나 짧았습니다.


하지만 지휘부가 선택한 인천의 월미도는 여전히 적의 수중에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명의 유격대원들이 상륙작전 직전에 월미도 앞 팔미도에 파견되었고 이들은 팔미도를 지키고 있던 인민군을 격퇴한 뒤 등대를 점령했고 지휘부의 상륙 명령을 받은 유엔군 군함 261척은 이 팔미도의 등대 불빛에 의지하여 월미도에 상륙합니다.


이때 팔미도에 미리 상륙하여 등대를 확보한 부대의 이름이 북한과 남한 지역 출신으로 이루어진 8240부대입니다. 현재까지도 베일에 쌓여있는 이 한국 최초의 게릴라 특수부대 8240부대는 6.25 전쟁 당시 미국 극동군 특수전사령부가 한반도 전역에서 운영했던 특수부대로, 일명 켈로, 동크, 울프백 등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전성기 때는 최고 3만 여 명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대원들은 대다수가 북한 지역 출신이었습니다. 말하자면 미 극동군 특수전사령부가 적의 후방에 조직한 게릴라부대이자, 북한 지역 출신자 위주로 한국에서 최초로 만든 특수부대가 8240부대인 것입니다. 8240부대의 대표적인 활약상이 하나 더 있습니다.


때는 역시 한국전쟁이 한창인 1951년 남과 북은 화천 수력발전소를 사이에 두고 치열한 쟁탈전을 벌입니다. 이 발전소는 당시 한반도 최대의 전력을 생산하는 기지여서 남과 북 모두 포기할 수 없는 전략적 요충지였습니다. 당시 유엔군에도 최우선으로 탈환을 하라고 할 정도로 그만큼 중요한 곳이였는데, 어찌된 일인지 거듭된 포격에도 불구하고 북한군의 탱크와 포는 점점 늘어나기만 했습니다.


미군이 이를 이상하게 여겨 비행기로 촬영을 했지만 역시나 탱크와 포는 늘어나기만 했고, 유엔군은 북한이 그만큼 발전소에 목을 매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보고하고 공세를 점차 줄이자고 제안합니다. 그러나 늘어만 가는 북한군 전력에 의문을 품은 대원들이 있었는데 바로 8240부대였습니다. 다른 전선의 상황도 녹록지 않은 상태에서 유독 이곳의 화력만 증강되고 있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었던 것입니다.


8240부대의 대원들은 현지에 조사팀을 파견했고 조사 결과 적들의 증강된 화력은 가짜임이 밝혀졌습니다. 사진에 그럴듯한 탱크와 포로 촬영된 것이 모두 나무로 만든 가짜 모형이었던 것입니다. 이런 첩보를 입수한 아군은 즉시 제6사단과 해병대 제 12연대를 파견하여 발전소를 완전히 점령합니다. 치열한 공방 끝에 발전소는 완전히 남한의 수중에 들어옵니다. 이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여 해당 호수에 파로호라는 이름이 붙여지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8240부대는 혈혈단신 적진에 침투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후방을 교란하는 등 비정규전을 완벽하게 수행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특수부대로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쟁에 크게 기여합니다. 휴전 직후인 1953년 8월 8240부대는 육군본부 산하의 8250(3.1공수특전단)부대로 강원도지구 올프지역대장으로 활약하던
시라소니(이성순)교육대장겸 부부대장 재탄생되지만 전쟁 중에 많은 부대원들이 사망하거나 적의 후방에서 활약하다가 북한 지역에 그대로 남겨집니다.
이후 이 부대는 일명 아바이부대라
불리는 8250부대가 1957년
특전부대 모체 제1전투단으로 탄생
오늘날의 한국의 대표적인 특전부대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6천여 명이 전쟁 중에 사망하고, 2천 명이 행방불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는 이들이 군인 이상의 군인 역할을 수행하고 누구보다도 처절한 희생을 치뤘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국가로부터 전혀 보상을 받을 길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하나, 이들에게는 정식 군번과 정식 계급이 없었습니다. 게다가 부대의 특성상 기록을 남기지도 않았기에 누구보다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도 한국전쟁에 참전했다는 사실조차 인정 받지 못했습니다.


8240부대는 우리나라에서도 그 실체를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였고 그 실체를 정확히 아는 곳은 앞서 언급한 미 극동군 특수전사령부였는데, 이마저도 미 1급 군사기밀로 설정되어 최근까지도 알 수 없었습니다. 이처럼 베일에 쌓일뻔한 8240부대가 다행히도 최근 8240부대원들 가운데 그 전공이 인정되는 경우가 최근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군의 당시 작전명령서를 비롯한 일부 문서가 기밀에서 해제되면서 본격화된 현상입니다.


팔미도 등대 탈환 작전에 참가한 최희화씨 역시 전후에는 민간인으로 복귀하여 생활하다가 참전 공로를 인정받지 못한 채 1971년에 사망했지만 최근 기밀에서 해제된 당시 미군 작전명령서에서 그의 이름이 확인되어 정부는 2014년 1월 그의 가족에게 화랑무공훈장을 추서합니다. 이렇게 지금까지 8240부대원으로 전투에 참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훈장을 받은 사람은 그래봐야 지금까지 36명뿐입니다.


최근 올해 안에 종전협상을 한다라는 남북관계에 반길 수 밖에 없는 메시지들이 연달아 흘러나오고 있지만, 위와 같은 분들이 없었다면 현재 이러한 희망의 메시지도 전달 받지 못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군번도 없이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쳤던 8240부대분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자료출처=

인천상륙작전이 한국 전쟁... https://band.us/band/56915066/post/10366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9026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강남구, 자치구 최초 16개 유관기관이 손잡고 마약 막는다!
  •  기사 이미지 아산시, 우기 산사태 재난 대비 훈련 시행
  •  기사 이미지 예산군, 라오스 외국인 계절근로자 입국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